산업 산업일반

"중국 여전히 중요...반도체 공급망 재편 시간 걸려"

박소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10.22 08:06

수정 2024.10.22 16:11

- 대한상의 SGI, ‘반도체 5대 강국의 수출입 결합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 발표
- 미·중 무역 갈등 이후에도 중국 중심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은 유지…. 재편에 상당 시간 예상
- 중국의 수출입결합도 분석 결과…. 반도체 5대 강국 간 무역 상호 의존도 여전히 높게 나타나
- 상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국내 생태계 강화 기회로 삼아야…. 정부의 인프라·재정지원 필요”
"중국 여전히 중요...반도체 공급망 재편 시간 걸려"

[파이낸셜뉴스] 미·중 무역 갈등 이후에도 중국이 여전히 반도체 제조 공급망의 허브 기능을 지속하고 있어,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22일 '반도체 5대 강국의 수출입 결합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우방국 중심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

반도체 5대 강국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대만, 일본을 말한다. 수출결합도 분석 결과 2022년 기준 중국은 한국과 메모리 반도체 수출 결합도가 2.94로 높게 나타났다. 수치가 1보다 크면 양국의 무역관계가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반면, 중국과 미국의 메모리 반도체 수출결합도는 0.62, 수입결합도는 0.09로 미중 간 무역은 보완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미·중 갈등에도 여전히 글로벌 반도체 제조 공급망 허브의 역할을 하고, 특히 메모리 반도체는 한국과 긴밀한 생산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2022년 기준 한국의 대중 전자 및 광학기기 수출의 40%는 중간재이며 28%는 중국에서 해외로 재수출된다.

이에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수출이 중국을 거점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 체인에 여전히 편입돼 있어 중국과의 급격한 디커플링(탈동조화)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미·중 갈등을 기회 삼아 메모리 반도체뿐만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 제조 분야까지 경쟁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반도체 칩 설계는 대규모 생산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들이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국내 스타트업,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