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금투세 폐지는 채권 시장에도 호재다. 그간 금투세는 채권 시장에서 중요한 세력이 되고 있는 개인투자자의 투자를 저해하는 악재로 꼽혀왔다.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도입 예정이었던 금융투자소득세를 폐지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면서 잠재적 금리 상승 압박 요인이 제거됐다는 평가다.
4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올해 1월~11월 1일까지 개인투자자들의 국채 순매수 규모는 11조3442억원을 차지한다. 은행(33조5837억원), 공모 자산운용사(26조2353억원) 보다 적지만 보험사(13조5032억원)와 맞먹는 규모다.
이른바 '채권 개미'들의 순매수 규모는 올해 국채 순매수(166조9380억원) 비중에서 약 6.7%를 차지했다. 지난 2020년 같은 기간(1월~11월 1일) 개인투자자의 국채 순매수는 마이너스(-) 80억원 수준이었다.
채권시장에서 영향력이 미미했던 개인투자자들이 몇년 사이 국채 수급을 떠받치는 기관 못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 것이다. 회사채 시장에서의 영향력은 더 크다. 연초 이후 11월 1일까지 개인투자자들의 회사채 순매수는 8조5372억원 수준이다. 올해해 회사채 순매수(25조444억원)에서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는 은행(5조2802억원), 공모 자산운용(2조7285억원)의 순매수 규모를훨씬 뛰어넘는 수준이다.
채권 시장에서 탄탄한 세력으로 떠오른 개인투자자들에 대한 과세는 채권 수급에서의 리스크가 될 것이라는 비판이 상당했다. 금투세는 채권투자시 연간 250만원 이상의 매매차익에 대해 22%의 세율로 별도 과세하는 제도이다. 기존에는 이자소득에 대해 2000만원을 기준으로 이자소득세 및 종합소득세만을 부과했다. 금투세 도입 시 채권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추가로 부과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반기를 들었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개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위 10개 종목은 모두 국고채에 해당한다. 국고채 금리가 고점으로 올랐던 최근 2~3년 사이 개인들은 액면가 이하로 가격이 떨어진 채권을 공격적으로 사들이며, 중장기적 금리 인하 기조를 기대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저쿠폰채는 채권 금리가 떨어질수록 가격이 올라 매도 시 매매차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금투세 시행이 확정될 경우 개인의 과세 부담이 높아지면서 이와 같은 저쿠폰채 매도 물량이 다소 출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일시적인 채권 매도는 채권 가격을 떨어뜨려 금리 상승 압박 재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금투세 폐지로 확정되면서 이러한 개인들의 국채 매도 리스크를 잠재울 수 있게 된 셈이다.
아울러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수급에도 호재라는 평가가 나온다. 금투세 대상에서 외국인은 제외되지만, 금투세 시행 시 한국 증시에 대한 실망은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이탈로 이어지고, 결국 채권 시장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가 상당했다.
채권 시장은 주식 대기자금으로 활용하는 창구가 되기 때문이다. 정경화 한국투자증권 압구정 PB센터 상무는 "금투세로 주식시장이 악재라면 외국인은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가고 당연히 채권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시장은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깜짝’ 편입에 이어 금투세 폐지로 가닥이 잡히자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DM) 지수 입성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국내외 주식, 채권 시장의 난제가 하나씩 풀리면서 MSCI 선진국(DM) 지수 편입이 다음 관문으로 꼽히고 있다. MSCI는 미국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발표하는 주식 지수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주요 펀드에서 벤치마크로 삼고 있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