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제기되는 여러 우려들을 일축했다. 직접 소통해온 트럼프 1기 정부 때 고위관료, 공화당 인사들에게서 “걱정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하면서다.
실제로 외교당국만 하더라도 50여차례 넘게 트럼프 측과 물밑협의를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트럼프 정부 2기가 한국의 산업·경제·외교·국방 분야 등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이 같은 '정교하고도 입체적인' 교류를 지속적으로 이어왔다는 게 대통령실의 전언이다.
트럼프 美우선주의, 韓 비롯 유사입장국 공조 불가피
윤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빌 해거티 상원의원과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국가안보보좌관 등 트럼프 측 여러 인사들과 만났다는 점을 들며 “트럼프 당선인과 케미가 맞을 것이라며 관계를 잘 이어주겠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며 “정책들이 우리 기업들에 불리할 수 있어 걱정이라고 하니 걱정하지 말라고도 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자신 뿐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으로 인한 변화에 대비해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주미대사관은 물론 학계와도 협력해 트럼프 측과 50여차례 넘게 접촉해 네트워크를 쌓았고, 같은 날 개최된 대외경제장관회의까지 포함해 장·차관 주재 대책 마련을 위한 회의를 수차례 진행해왔다고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도 이날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그간 전방위적으로 접촉해 온 트럼프 진영 인사 및 공화당계 핵심 인사들은 한미동맹, 한미일 협력에 대한 지지는 초당적이며 굳건하다는 점을 변함없이 강조해왔다”고 말했다.
트럼프 재집권으로 인한 대표적인 우려 사안들 중 윤 대통령은 통상 문제를 주목했다. 윤 대통령은 “보편적 관세는 어느 나라나 같은 조건이니 괜찮지만, 중국에 슈퍼관세를 물리면 덤핑으로 이어져서 우리가 경쟁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 중국이 미국에 완제품 수출을 못하게 되면 우리가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하는 것도 영향을 받는다”며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 등 돈을 더 내라는 건 부차적인 문제이고,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으니 미 관세 리스크를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의 설명에 관해, 외교부 당국자는 관세 문제와 함께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 등을 통한 지원금 중단 우려까지 언급하며 “미국 우선주의로 자국 산업을 발전시키고 중국을 견제한다는 면에서 트럼프 당선인과 바이든 정부에 차이는 없다”며 “트럼프 정부도 자국 고용을 위해 기업을 유치하려 하고, 중국을 견제하며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위한 공급망을 유지키 위해선 유사입장국들과 공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北 먼저 이야기한 트럼프..尹 만나 진전된 논의 전망
윤 대통령은 통상 문제와 더불어 북한 핵·미사일에 대응하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 약화 우려가 제기된 데 대해선 구체적인 언급은 아꼈지만 “미 행정부가 바뀐다고 기조가 100% 바뀌는 건 아니다”면서 자신감을 드러냈다.
먼저 북핵 문제에 대해선 트럼프 당선인이 이날 전화통화에서 먼저 북한 문제를 꺼냈고, 조만간 회동해 협의키로 했다는 점을 부각하며 “트럼프 1기 때에 비해 북핵 역량이 얼마나 변했는지 브리핑을 받고, 한미 양자든 한미일 삼자든 만나 내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면서 “한미일 협력은 트럼프 1기 때 기업 위주로 시동을 걸어 바이든 정부가 한일관계 정상화에 발맞춰 캠프 데이비드 합의를 끌어냈다. 이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외교가에선 윤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 회동이 성사되면 북핵과 통상 문제 논의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측 인사들이 글로벌 분쟁 상황에서 동맹국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에도 후보로서는 이례적으로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 등 여러 외국 정상들을 만났다. 트럼프 1기 정부 출범 직전 당선인 신분일 때에도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친교를 명분으로 만나기도 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트럼프 정부 출범 때까지 두 달 동안 안보·경제 문제에 관한 메시지를 다듬고 필요한 인맥과 채널을 통해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