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기자협회·한국자동차안전학회 공동 포럼
박종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실장, EDR 불신 문제 지적
"공개실험으로 사고기록장치 공개 검증 노력 필요"
"자율주행 시대 전개, EDR 중요성 확대"
박종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실장, EDR 불신 문제 지적
"공개실험으로 사고기록장치 공개 검증 노력 필요"
"자율주행 시대 전개, EDR 중요성 확대"

[파이낸셜뉴스] 국내 대표적인 자동차 사고 분석가인 박종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서울과학수사연구소 교통실장은 12일 "향후 자율주행차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및 사고 원인 분석에서 자동차 사고기록장치(EDR)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나, (유독)국내에서만 사고기록장치(EDR)데이터에 대한 불신이 있다"고 밝혔다.
박 실장은 이날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가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포럼에서 '자동차 사고 및 자율주행 에지 케이스(예외적 상황)'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사회적으로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 사고로 인해 매년 사상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있고, 고령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에 의한 사고 비율도 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급발진 주장 사고와 관련한 원인 규명을 위해 EDR 기록 항목 확대 등의 정책적인 노력이 이뤄지고 있으나, EDR 자체에 대한 일반의 불신이 강한 상황이다.
박 실장은 "EDR 장치에 대한 단순한 불신의 문제인지, 기술적 불완전성이 있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전자'라고 답하며, "외국과 달리 차량 충돌 실험을 통한 EDR 공개 검증 활동이 없어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또한 "(국내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현대차·기아의 EDR 추출 장비 시판 필요성과 더불어 그러한 데이터를 분석할 전문가 양성 등의 노력이 병해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포럼에 앞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한국자동차안전학회는 자동차 안전 기술 개발을 위한 상호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에 따라 자동차 안전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정보 및 자료 활용 협의, 상호 회원에 대한 행사 참여 등 자동차 미래 발전 구상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