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관계 국익 극대화 방향으로
대통령과 부처 관련 대화 계속 나눠
인적 쇄신 생각보다 진지하게 검토중
정부가 여야의정서 환자 목소리 낼것
필요하면 환자 단체 추가 방안 논의
대통령과 부처 관련 대화 계속 나눠
인적 쇄신 생각보다 진지하게 검토중
정부가 여야의정서 환자 목소리 낼것
필요하면 환자 단체 추가 방안 논의
[파이낸셜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3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우리 정부의 경제 외교 안보 정책 조정 필요성에 대해 "우리로썬 조심스럽게 큰 관심과 노력을 가지고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들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출입기자단 브리핑에서 '트럼프가 한국 정부를 패싱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대한민국과 미국의 관계는 긴밀하게 협의하지 않으면서 하는 그런 일(패싱)은 일어나지 않으리라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무역 타격 우려에 대해선 "가능한 한 우리의 경쟁력에 따라서 미국으로부터 우리가 사는 것이 우리 국익에 도움이 되면 당연히 사야할 것"이라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새로운 각료들이 자리를 잡으면 그들과 필요한 논의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후변화협정을 탈퇴했던 트럼프의 재집권에 따른 탄소중립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선 "한국 정책은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기후변화에 대해 중앙정부가 하는 정책과 별도로 주정부나 기업 차원에서 하는 것이 많다"고 부연했다.
한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이 한국에 조선업 협력을 요청한데 대해선 "산업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미국의 이익과 우리나라 조선업간 협력할 부분이 상당히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미국 선박 수리 문제나 조선 기술 차원에서 협력 할 부분이 있다 싶고 구체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對)중국 강경파 인사들의 내각 인선에 따른 우리의 대중관계 변화 가능성에 대해선 "우리의 기본 (대중)원칙은 상호 호혜로, 그 원칙 하에 중국과 소통을 강화해왔다"며 "미국 새 정부도 우리의 큰 원칙과 큰 차이가 없지 않겠나 한다"고 밝혔다.
국정 쇄신과 연관된 개각 문제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의견을 전달했느냐는 질문에 한 총리는 "대통령과 항상 각 부처가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인지, 장관들이 어떻게 하고 일하고 있는 지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계속 대화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께서 일종의 검증 상태에 들어갔다고 보고 대통령실에서 그런 말을 한 거 같다"며 "생각보다 진지하게 이 문제가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했듯 인적 쇄신을 위해 인재 풀을 정하고 검증에 들어갔다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이 최근 임기 후반 핵심 과제로 ‘양극화 해소’를 언급한데 대해 한 총리는 “올해와 내년 예산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는 ‘약자 복지’”라며 "현금을 살포하는 식의 정책은 자제하고, (개인이) 자기 능력을 키워 소위 중산층으로 위치를 확고하게 할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를 확보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재정의 건전성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전체적인 재정 건전성을 크게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역할을) 검토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지난 주말 출범한 ‘여야의정 협의체’에 환자단체를 추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필요하면 논의해봐야 할 것 같다”면서도 “정부가 일종의 공익을 대표한다고 보기 때문에 저희가 환자들의 말씀을 잘 듣고 협의체에서 논의를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2025학년도 대입에서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선발 규모를 조정해 증원 규모를 줄이자는 제안에 대해서 한 총리는 “구체적인 안을 갖고 협의체에서 논의하진 않았다”면서도 “정부의 입장은 정해지지 않았고, 합의가 이뤄지면 공개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한 총리는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의 탄핵으로 구성될 차기 지도부에 대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 지속가능한 세계 최고의 의료 시스템 구축 등의 목적을 향해 같은 생각을 갖고, 대화의 필요성을 느끼시는 분들이 의료계를 이끄셨으면 좋겠다는 희망은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