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시장 금융위기 이후 첫 성장 둔화 전망
[파이낸셜뉴스]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명품계의 '큰손'인 중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자 전세계 개인 명품 시장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올해 처음으로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경기둔화에 전세계 명품시장 2% 쪼그라들어
13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 등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연간 보고서에서 올해 전세계 개인 명품 시장 규모가 지난해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전세계 개인 명품 시장 규모는 3630억유로(약 537조원)로 이는 코로나19 봉쇄 기간을 제외하고 15년 만에 처음으로 둔화한 것이다.
이러한 전망치는 중국의 빠른 경기둔화와 한국의 어려운 경제상황 등이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베인앤드컴퍼니는 "중국 본토가 급격한 둔화를 경험해왔다"며 "소비자 신뢰도 저하로 인해 국내 지출이 감소하면서 1년 내내 악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명품 시장이 내년에 조금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주요 지역의 경제 상황에 달려있다"며 "특히 명품 브랜드들이 Z세대(19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 출생)를 잡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트럼프 관세'까지 예고돼 전망도 '흐림'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명품 소비층이 지갑을 닫자 명품 브랜드들은 고전하고 있는 모양새다.
세계 최고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전체 그룹의 매출액은 3분기(7~9월) 기준 190억7600만유로(약 28조6000억원)로 1년 전 대비 3% 감소했다고 발표했으며,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Gucci) 모기업인 케링그룹도 올해 실적이 지난해보다 반토막 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공언한 관세가 시행되면 명품 시장 전망이 더 악화할 수 있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