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T일반

AI시대 개인정보 보호방안 머리맞댄다

조윤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11.21 18:13

수정 2024.11.21 18:13

22일 AI프라이버 정책협의회
내달 리스크 관리 최종안 발표
인공지능(AI) 시대 적합한 개인정보 보호와 리스크 관리 방안이 내달 나온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오는 22일 민간 전문가와 관계부처가 참여한 'AI프라이버 민관 정책협의회' 회의를 열고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평가·관리 모델'에 대해 논의한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AI 기술이 기술적 혁신을 넘어 국민의 일상, 사회·경제 전반에 깊숙이 영향을 미침에 따라 AI 위험을 적정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특히 AI 기술이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에 기초하고 있어 전통적 방식과는 다른 복잡한 데이터처리를 수반함에 따라 AI의 대표적 위험 중 하나로 프라이버시 위협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 10월 구성된 협의체에서는 AI 기업의 자율적인 프라이버시 위험관리를 지원하고, 생체인식기술의 안전한 활용 방안을 모색 중이다.
학계, 법조계, 산업계, 시민단체 등 AI 분야 차세대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는 3개의 분과에서 데이터 처리기준, 리스크 평가, 투명성 확보 등에 대한 논의를 해왔다.

협의체는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과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공동 의장으로, 김지원 SKT 부사장,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 김성웅 금융보안원 AI혁신실장, 신수용 카카오헬스케어 연구소장, 배순민 KT AI2XL 연구소장, 김연지 카카오 부사장 등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AI 프라이버시 리스크의 절차, 리스크의 유형 및 리스크 경감 방안, 리스크 기업 등의 평가·관리 체계 등이 현재 초안에 담겼다. AI 기업 등은 이 모델을 자율적으로 참고해 개별 AI 모델·서비스의 용례, 처리하는 데이터의 특성 등 구체적 맥락에 따라 보다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리스크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회의에서 의견 수렴을 거쳐, 12월 중 '인공지능(AI) 프라이버시 리스크 평가·관리 모델'의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초임 공무원 월급 인상, 여러분의 생각은?

과거 안정적인 직장으로 선호도가 높았던 공무원이 어느 순간부터 기피하는 직업이 되었죠. 이들의 처우를 위해 9급 공무원의 보수를 월 300만 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무주택 공무원의 주거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도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여러분은 이 같은 공무원 처우 개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04 ~ 2025-02-18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