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기존 대형원전과 설계부터 달라
사전검토로 안전·심사효율 높여
대학 손잡고 전문인력 발굴 꾸준
기존 대형원전과 설계부터 달라
사전검토로 안전·심사효율 높여
대학 손잡고 전문인력 발굴 꾸준
27일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사진)은 SMR 개발 과정에서 원안위의 역할에 대해 이같이 표현했다.
SMR은 기존 대형 원전과는 다른 새로운 설계 개념이 적용된 차세대 원자로로 불린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80여종의 SMR이 개발되고 있으며, 한국도 혁신형 SMR(i-SMR) 개발에 뛰어들었다.
전 세계가 SMR 개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는 안전이 꼽힌다. 결국 SMR도 원전이기 때문이다. 실제 원전 선진국들은 새로운 설계에 대한 사전검토 등을 통해 규제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 위원장은 "SMR이 기존 대형 원전과는 설계 개념부터 달라 안전기준도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며 "지난해 SMR 안전규제 방향을 선포하고, SMR 규제 연구추진단을 중심으로 규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개발(R&D)과 사전설계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MR에 대한 사전설계 검토는 개발자가 규제기관에 인허가를 신청하기 전 초기개발 단계부터 SMR 설계를 검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개발자의 시행착오를 줄이는 대신 안전성과 심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유 위원장은 "2026년으로 예상되는 i-SMR 인허가 신청 전까지 선제적으로 각 단계별 규제 체계를 정비해 나갈 것"이라며 "SMR 개발자가 올바른 길로 가고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도록 경로를 안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전 안전을 위한 원안위의 노력은 상시검사 제도 도입으로 한층 더 빛을 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원전에 대한 정기검사는 통상 핵연료 교체주기인 18개월에 한 번씩 원자로 운전을 정지하고 실시했다. 하지만 상시검사 제도를 통해 원전 가동 중에도 안정성을 수시로 확인하고 이상징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 나갈 수 있게 됐다. 현재는 새울 2호기를 대상으로 시범적용 중이지만 2027년 1월부터는 전체 원전으로 확대될 방침이다.
유 위원장은 "새울 2호기에 대한 시범검사를 통해 중요설비와 반복적 문제 발생에 대한 심층검사와 절차·지침 등을 정립해 상시검사 제도를 안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안전에 대한 전문성을 겸비한 인력 양성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원자력 이용 확대정책에 따라 안전문제 해결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원안위는 이를 위해 지난 5월 한국수력원자력, 카이스트, 포스텍,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환경공단 등 39개 기관과 원전 안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협약을 통해서는 △원자력 안전 전문인력 양성·공급·활용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교육 콘텐츠, 연구·교육시설·기자재 공동 활용 △전문가 활용 및 공동 연구과제 세미나 추진 등이 진행되고 있다.
유 위원장은 "학부와 대학원을 통해 공대 전체에 연계되면 원자력 현장에서 안전성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며 "미래의 주역인 학생들이 원자력 현장에서 안전을 위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견고하게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