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4대 금융지주가 올해 연간 실적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내수 경기는 꽁꽁 얼어붙었지만 금융지주들의 핵심 계열사인 은행에서 가계대출 급증과 예대금리차 확대로 이자이익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와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올해 연간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16조9234억원으로 약 17조원에 육박한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순이익(15조1367억원)보다 11.8% 증가한 수치다. 고금리 상황에서 4대 금융지주가 거둔 기존 최대치(지난 2022년 15조6503억원)도 훌쩍 뛰어넘을 전망이다.
4대금융지주의 올해 4·4분기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지난해(1조3421억원)보다 81.1% 급증한 2조4305억원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KB금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0.1% 늘어난 6768억원, 신한금융은 27.5% 증가한 734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낼 것으로 예측됐다. 하나금융은 35.1% 늘어난 6212억원, 우리금융은 319.4% 확대된 398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지주의 핵심 계열사인 시중은행들이 올해 기업대출을 경쟁적으로 확대하다가 올해 여름에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가계대출 실적이 급증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또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억제 정책을 펼치면서 금리 인하기에 오히려 가산금리를 20차례 이상 인상하고 수신금리는 내리는 등 예대마진차를 확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지난 7월 0.43%p에서 10월 1.04%p로 2배 이상 껑충 뛰었다. 4·4분기만 놓고 보면 금융지주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에 앞서 대손충당금을 대규모로 적립한 기저효과로 실적개선세가 크게 나타난 측면도 있다. 금융지주 관계자는 "4·4분기 일회성 요인 등으로 대손충당금을 많이 쌓는 관계로 실적이 급감하는 경향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국 혼란으로 원·달러환율 변동성이 높아지는 등 비상경영 체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차분하게 내년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점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들은 내년에는 금리인하기가 본격화됨에 따라 NIM 방어를 위한 수익화 방안을 고심 중이다. 특히 고객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영업을 강화하고, 은행과 비은행 계열사 간 협업을 늘려갈 것으로 보인다.
정국 혼란에다 내년 경기가 올해보다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면서 올해 최대 실적을 올린 금융권의 상생금융도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당국과 은행권은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추가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 중인 상태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권은 연체 전이라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차주를 위해선 맞춤형 채무조정을 마련할 계획이며, 사업을 영위하기 어려운 소상공인을 위해선 '저금리 장기 분할 상환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기 의지가 있고 경쟁력 제고 가능한 소상공인에 대해서는 사업자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도록 '소상공인 상생 보증·대출'을 보증기관과 협의해 마련할 계획이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