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외환위기 걱정하는 해외 시각, 극히 제한적
2011년 이후 연준 금리 인상하며 환율 상승해
남은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돼야 안정 가능성↑”
“트럼프 등 과거 탄핵보다 대외여건 불확실성 커져
내수 회복 더딘데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도 확대
계엄사태로 소비·투자 심리 위축...상황 더 어려워져”
2011년 이후 연준 금리 인상하며 환율 상승해
남은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돼야 안정 가능성↑”
“트럼프 등 과거 탄핵보다 대외여건 불확실성 커져
내수 회복 더딘데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도 확대
계엄사태로 소비·투자 심리 위축...상황 더 어려워져”
박 부총재보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2014년부터 우리나라는 채무국에서 채권국으로 바뀌었고 순대외금융자산도 거의 1조달러 가까이 올라와 해외시각을 보면 국내 외환위기를 걱정하는 시각은 굉장히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 레벨이 1500원에 가까워질수록 위기 의식이 커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과거 사례와 비교할 때 외환위기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설명이다.
박 부총재보는 “1997년 외환위기는 국내 요인에 의해 촉발됐고,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는 환율이 900원에서 1500원 넘는 수준으로 단기간에 급등했다”며 “현재 환율은 1400원 중반 가까이 올라오긴 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상하면서 2021년부터 쭉 올라온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율이 올라온 수준을 그때랑 비교하면 25% 수준인데 그 기간 중에 달러화지수도 대략 20% 정도 올라왔다”며 “전 세계가 비슷하게 겪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반적으로 달러화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떨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전날 1438.9원(오후 3시 30분 기준)에 마감하며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22년 10월 24일(1439.7원) 이후 가장 높았다. 비상계엄 선포 전인 3일(1402.9원)보다 36.0원이나 오른 수준으로 지난 14일 탄핵소추안이 가결됐음에도 17일 야간 거래 초반에 1439.8원까지 상승해 1440원을 위협하기도 했다.
이는 정국 불안이 일부 해소됐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투자심리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박 부총재보는 “해외 입장에서 보면 탄핵안 가결이 됐지만 이후에 정치적 프로세스들이 한 두 달 정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여전히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금 남아 있다고 보는 시각이 좀 우세하다”며 “그런 부분들이 해소돼야 조금 안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부총재보는 외환시장의 변동성보다 실물 경제 우려가 더 크다고 짚었다. 그는 “(비상계엄 등) 이 상황이 저희도 예상치 못한 초유의 사건이다 보니 사실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상당히 좀 위축돼 있다”며 “실제로 카드 사용액 추이를 보면 이달 들어 음식업 등의 매출이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과거 두 차례의 탄핵국면과 비교할 때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는 분석이다. 박 부총재보는 “지금 대외 여건을 보면 지구촌 어디 한 군데 조용한 곳이 없다”며 “러-우 전쟁, 중동 분쟁, 최고조에 달한 미-중 긴장, 프랑스·독일 등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에 따른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수가 완전히 올라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의 대외 경쟁력 심화,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로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가 있다”며 “전반적으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지난달 한은이 전망한 경제성장률이 하향조정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박 부총재보는 “지난달 전망을 할 때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0.2%p 낮춰 2.2%, 1.9%로 조정했다”며 “계엄사태가 터지다 보니까 송년 모임 취소 등 내수 위축과 소비·투자 심리 위축 등을 통해 상황이 좀 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다만 이달 연내에 금융통화위원회를 한 번 더 소집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없다는 입장이다. 그는 “임시 금통위는 굉장히 예외적인 상황에서 하는 것”이라며 “내년 1월 16일에 회의가 있는데 그때 금리를 어떻게 결정할 지는 성장 하방 리스크, 환율 변동성, 가계부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