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비상계엄·탄핵 등 혼란한 정국을 틈 탄 농수축산물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 인상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고환율에 따른 생산비 부담과 맞물려 정부 눈치까지 덜 볼 수 있다는 점에서다. 과거 박근혜 대통령 탄핵 때도 농수축산물 물가가 2배 이상 상승하기도 했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국회의원에게 제출한 '탄핵 정국 국내 경제 및 농업부문 파급 영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기인 2016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농수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감율은 7.5%다. 이는 20년 평균치 3.5%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월별로 2016년 10월 7.7%, 11월 8.0%, 12월 6.7%, 2017년 1월 10.4%, 2월 10.4%, 3월 6.6% 등이다.
김 의원은 "8년 전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따른 어수선한 정국과 설 특수를 틈타 농수축산물 소비자물가 지수가 평상시보다 2배 넘게 치솟았다"며 "이런 일이 재현될 수 있는 만큼 공정거래위원회가 철저하게 감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경연은 이번 탄핵 정국으로 인한 환율 상승이 국내 농수축산업의 생산비 부담을 가중시켜 결국 농수축산물 소비자 물가 인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농경연은 "축산업 생산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비가 고환율의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분석했다.
가공 식품·외식 물가 상승 가능성도 크다. 농경연은 "가공 식품 원재료로 국제 곡물을 대부분 수입하고 있는 국내 식품 산업 구조상 고환율로 인한 수입 원재료 가격 상승은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며 "가공식품 및 외식물가 상승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식품산업은 생산원가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70%이고, 외식산업은 30~40%에 달한다.
통화 정책 변화 역시 농수축산물 물가를 자극할 것으로 농경연은 지적했다.
농경연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지난 10월과 11월 두차례 걸쳐 3.5%에서 3%로 낮췄다"며 "2020년 5월 이후 장기간 오름세를 보였던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통화정책은 긴축에서 완화쪽으로 선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성장률 둔화, 외국인 투자·고용의 위축과 같은 경기침체를 해소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는 통화정책을 펼치면 단기적으론 내수 회복,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서민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결국 물가 상승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부연했다.
농경연 관계자는 "최근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통화기금(IMF),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내외 기관들이 한국 경제성장률을 2%내외로 낮췄다"며 "탄핵 정국이 국내 경제 전반에 걸쳐 나쁘게 작용하면서 농수축산식품과 외식 물가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