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일본에 기반 둔 암호화폐 교환 회사 'DMM' 비트코인 털려
-미국 FBI, 미 국방부 사이버범죄센터(DC3)와 日 경찰청과 협력 수사
-北 암호화폐 탈취 2023년 6.6억달러→2024년 13.4억달러로 증가
-北 해커 암호화폐 탈취위해 ‘사회공학기법(Social Engineering)’ 사용
-보안 경각심이 높은 대상자에 신뢰 먼저 구축한 뒤 공격하는 방식
-채용 담당자로 가장.. 암호화폐 회사 '킨코' 직원에 악성코드 전달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 탄도미사일 개발에 전용 국제적 위협 부상
[파이낸셜뉴스]
-미국 FBI, 미 국방부 사이버범죄센터(DC3)와 日 경찰청과 협력 수사
-北 암호화폐 탈취 2023년 6.6억달러→2024년 13.4억달러로 증가
-北 해커 암호화폐 탈취위해 ‘사회공학기법(Social Engineering)’ 사용
-보안 경각심이 높은 대상자에 신뢰 먼저 구축한 뒤 공격하는 방식
-채용 담당자로 가장.. 암호화폐 회사 '킨코' 직원에 악성코드 전달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 탄도미사일 개발에 전용 국제적 위협 부상

지난 5월 말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DMM 비트코인(DMM Bitcoin)이 해킹 공격으로 약 3억8000천만달러(약 4800억원) 규모의 4500백 비트코인(BTC)이 탈취 당한 사건이 북한 해커 집단에 의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지난 23일(현지시간) 미 국방부 사이버범죄센터(DC3), 일본 경찰청과 협력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혀내고 대중에게 경고문을 발표했다.
FBI와 일본 경찰청은 이번 조사 결과 북한 정부와 연계된 해커 그룹 트레이더 트레이터(Trader Traitor)를 지목했다. 이 그룹은 ‘라자루스(Lazarus)’, ‘UNC4899’, ‘슬로우 피시스(Slow Pisces)’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의 조사에 따르면 북한 해커는 암호화폐를 탈취하기 위해 ‘사회공학기법(Social Engineering)’을 사용했다.
의심이 많거나 보안 경각심이 높은 대상자의 경우 신뢰를 먼저 구축한 뒤 공격을 진행하는 방식을 ‘사회공학기법’이라고 알려졌다.
지난 3월 말, 북한 해커는 링크드인(세계 최대의 비즈니스, 고용 중심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채용 담당자로 가장하고 일본 암호화폐 지갑 소프트웨어 회사 '긴코(Ginco)'의 직원에게 접근해 “코드 검토”를 명목으로 악성 코드를 전달했다. 긴코 시스템을 해킹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었다.
이 직원은 해당 악성 코드를 개인 소스코드 공유 사이트인 ‘깃허브(GitHub)’ 페이지에 적용했으며, 이로 인해 긴코 시스템이 감염돼 손상됐다. 그러다 지난 5월 중순 이후 북한 해커들은 손상된 시스템을 악용해 긴코의 시스템에 접근, 자금을 탈취해 최종적으로 자신들의 조직이 관리하는 암호화폐지갑으로 송금됐다.
FBI와 일본 경찰청은 입장문에서 “미국 정부 및 국제 파트너들은 북한이 사이버 범죄와 암호화폐 절도를 포함한 불법 활동을 통해 정권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계속 폭로하고 이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DMM 비트코인은 사건 직후 계좌 등록, 암호화폐 출금, 거래 기능을 모두 중단하며 조사 진행과 복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재정적 손실과 신뢰도 하락으로 인해 정상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올해 12월 폐업을 선언했다. 고객 보호를 위해 고객 계좌와 자산은 타사로 이관됐다.
한편,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을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미국 민간기업 ‘체인널리시스’(Chainalysis)가 19일 발표한 ‘2025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해커들이 탈취한 암호화폐 액수는 2023년 6억6050만달러에서 2024년 13억4000만달러(약 1조9600억원)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북한 정부와 연계된 해커 그룹들이 가상화폐 해킹을 통해 탈취된 자금은 사실상 대부분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전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점점 더 심각한 국제적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