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심리적 방어선으로 여겨지던 달러당 1450원이 무너진 만큼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동안 잊고 있던 '환율 1500원'의 공포가 다시 찾아온 것이다.
환율이 고공행진을 하는 것은 대내외적 요인이 겹친 탓이다.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달러 강세 흐름 등 대외적 요인에 탄핵정국 장기화에 따른 정국불안이라는 대내적 요인이 더해졌다.
문제는 이 같은 고환율 흐름이 올해 3·4분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당초 원·달러 환율이 '상고하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던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지난해 12월 3일 계엄 사태 이후 입장을 바꿔 올해 3·4분기까지 환율이 계속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IB들이 발표한 3·4분기 평균 환율 전망치는 1445원, 이 가운데 노무라은행의 전망치는 1500원에 달한다.
당국이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지만 주저앉은 원화 가치를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이다. 외환시장에 대한 구두개입은 이미 수차례 이뤄졌고, 국민연금과 한국은행의 외환스와프 한도도 늘렸다. 그러나 고환율의 원인이 당국의 컨트롤 영역 밖에 있어 자칫 잘못하면 환율도 잡지 못하고 외환보유고만 축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환율은 당장 기업과 서민들의 삶을 조여오고 있다. 이에 따른 내수부진과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 한국 자산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낮아지고, 자본유출이 발생해 환율이 추가 상승할 수 있다.
최근 학계 및 금융시장 관계자들은 금융당국에 올해 말 국가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언급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전달했다고 한다. 과거 외환위기 당시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은 불과 석 달 사이에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6~12단계 강등한 바 있다.
만일 혼란이 더 심해지고 국가 신용등급이 내려가면 외국인 자금 이탈과 환율 상승은 가속화할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정국 혼란이 마무리되고,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길 기대한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