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트럼프 2.0 ‘밈코인 시대 열리나’..시총 120억 달러 [코인브리핑]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20 16:52

수정 2025.01.20 18:10

자체 밈코인 ‘오피셜트럼프’ 출시..60% 급등<BR>
투기 우려도 확산..트럼프 일가 이해상충 비판<B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크립토 플레이어(가상자산 참여자)'로 뛰어들면서 가상자산 시장 열기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취임 전 선보인 밈코인(인터넷유행 코인) '오피셜트럼프(TRUMP)'가 시가총액 120억달러(약 17조원)에 육박하는 등 단기간 대규모 자금이 쏠려서다. 밈코인은 투기적 성향의 가상자산이라는 우려가 적지않아 친 가상자산 정책과 트럼프 일가의 가상자산 사업에 대한 이해상충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그룹 계열사가 유통량 80% 보유
20일 글로벌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피셜트럼프는 이날 18시 기준 5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8일 발행 당시 7달러에 거래를 시작한 오피셜트럼프는 8배 이상 급등했다.

시가총액 역시 115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전체 가상자산 가운데 18위까지 진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측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트럼프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TRUMP'를 획득하십시오"라며 오피셜트럼프 출시를 알렸다. 이에 트럼프 인수위 측은 추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오피셜트럼프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트럼프 그룹 계열사인 CIC 디지털 등이 전체 유통량의 80%를 보유하고 있다.

트럼프 일가는 자체 대체불가능토큰(NFT) 출시는 물론 탈중앙화금융(DeFi,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에도 직접 관여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두 아들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 트럼프가 참여하고 있는 WLFI 토큰에도 자금이 몰리고 있다. 트론(Tron) 창립자 저스틴 선은 이날 테더(USDT)를 활용해 WLFI 10억 개를 매입했다.

■친 가상자산 정책과 가족사업 '이해상충'
하지만 트럼프 일가가 NFT와 디파이 프로젝트에 이어 자체 밈코인까지 출시, 자금을 모으고 있는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크립토 대통령'을 자임한 트럼프 당선인이 '비트코인 전략자산 비축' 등 친 가상자산 정책을 실시하는 동시에 '크립토 플레이어'로서 가족사업까지 하는 것은 향후 이해상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당선인의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까지 자체 밈코인 '멜라니아($MELANIA)'를 출시하면서 논란은 증폭되는 양상이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인 메사리의 창립자 라이언 셀키스는 공식 SNS를 통해 멜라니아 트럼프 영부인의 밈코인 발행을 추진한 팀을 비판했다. 이 가운데 오피셜트럼프가 증권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크로스앵글에 따르면 알렉산드라 안드호브 오클랜드 법학 교수는 포브스 기고를 통해 오피셜트럼프가 '하위 테스트'에 따라 증권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946년 미국 대법원 판례에서 비롯된 하위 테스트는 투자자산을 증권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증권성 판단은 △돈이 투자되고 △해당 돈이 공동 사업에 쓰이고 △투자에 따른 이익 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 △그 이익은 타인 노력으로 발생될 경우에 증권에 해당한다.

안드호브 교수는 오피셜트럼프가 법정화폐나 다른 가상자산으로 살 수 있다는 점에서 금전적 투자로 간주될 수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계열사가 오피셜트럼프의 80%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급량이 2억개에서 10억개로 확대될 예정이기 때문에 투자자 자금이 프로젝트 성과와 연관된 공동사업임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안드호브 교수는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가상자산 규제 방식이 변할 가능성이 있지만 기존 증권법은 여전히 적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10만9000달러선을 돌파, 사상최고가를 경신했다. 트럼프 취임으로 미국은 물론 주요 국가에서 비트코인의 제도권 편입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