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아시아/호주

"돈 너무 요구했나" 中 할아버지, 고속도로 알박기 실패

한승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28 04:20

수정 2025.01.28 14:03

당국과 보상금 협상하다 그대로 공사 진행
소음 너무 심해 낮에는 시내에서 보내
중국 상하이 남서쪽 진시에 남아있는 '못집'. 사진=Jam Press/메트로 캡처
중국 상하이 남서쪽 진시에 남아있는 '못집'. 사진=Jam Press/메트로 캡처

[파이낸셜뉴스] 중국의 한 남성이 재개발 지역에서 보상금을 더 많이 받기 위해 남아있다가 고속도로 한 가운데 살게된 사연이 알려졌다.

24일(현지 시각) 영국 메트로는 중국 상하이 남서쪽 진시의 2층짜리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황핑씨의 사연을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가 거주하는 마을 일대는 재개발 지역으로 선정됐다. 그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는 당시 당국으로부터 160만 위안과 부동산 2개를 제안받았지만 보상금이 적다고 생각하고 이사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당국과 협상을 계속한 끝에 부동산을 3개까지 늘렸다. 그러나 여기에도 만족하지 못한 황 씨는 집에서 나가기를 계속해서 거부했고 협상은 결렬됐다.

그러자 당국은 그의 집을 둘러싼 형태로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공사로 인해 큰 소음과 먼지가 이어지자 황씨는 11살 손자와 함께 낮 시간의 대부분을 시내에서 보낸다고 한다.

이런 가운데 고속도로는 올 봄에 개통될 예정이다. 예고된 소음 공해에 황씨는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그들이 제시한 철거 조건에 동의했을 것이다. 큰 내기에서 진 것과 같다”며 “조금 후회스럽다”고 말했다.

황씨가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고 있지만, 이 집은 인근 주민들의 이른바 '포토존'이 됐다. 중국에서는 이사를 거부해 길 한 가운데 위치한 집을 '못집'(nail house; dingzihu)이라고 부른다. 못처럼 툭 튀어나왔다는 의미다. 황 씨는 '중국에서 가장 심한 못집 주인'으로 불리고 있다.

비슷한 일은 앞서 이전에도 있었다. 지난 2015년 4월에는 난닝에서 한 집주인이 철거 보상금에 불만을 품고 이사를 거부했다가 '못집'이 됐다. 2013년 7월에는 장쑤성 수저우의 한 고급 빌라 단지에 남아있던 '못집'이 화제가 된 바 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