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재개발 지역에 살던 중국의 한 남성이 보상금을 더 많이 받기 위해 버티다가 고속도로 한 가운데 살게된 사연이 전해졌다.
24일(현지 시각) 영국 메트로는 중국 상하이 남서쪽 진시의 2층짜리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남성 A씨의 사연을 소개했다.
A씨는 거주하던 마을 일대가 재개발 지역으로 선정돼 당국으로부터 160만 위안과 부동산 2개를 제안받았다. 하지만 A씨는 보상금이 적다고 생각하고 이사를 거부했다.
이어 당국과 협상을 계속한 끝에 부동산을 3개까지 늘렸다.
당국은 A씨의 집을 둘러싼 형태로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공사로 인해 큰 소음과 먼지가 이어지자 A씨는 11살 손자와 함께 낮 시간의 대부분을 시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고속도로는 올 봄에 개통될 예정이다. 소음 공해에 A씨는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그들이 제시한 철거 조건에 동의했을 것이다. 큰 내기에서 진 것과 같아 조금 후회스럽다”고 말했다.
이후 A씨의 집은 인근 주민들의 '포토존'이 됐으며 그 역시 '중국에서 가장 심한 못집 주인'으로 불리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사를 거부해 길 한 가운데 위치한 집을 두고 못처럼 툭 튀어나왔다는 의미로 '못집'이라고 부른다.
한편, 지난 2015년 4월에는 난닝에서 한 집주인이 철거 보상금에 불만을 품고 이사를 거부했다가 '못집'이 됐으며, 2013년 7월에는 장쑤성 수저우의 한 고급 빌라 단지에 남아있던 '못집'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