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속보]尹, 옥중전언 "이번 계엄이 왜 내란인가..헌법상 권한"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28 15:27

수정 2025.01.28 15:27

"거대야당이 지배하는 국회 독재로 계엄 선포한 것"
"정치인 끌어낸 적 있나. 그런 시도라도 한적 있나"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모습.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모습.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검찰이 자신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기소한 것과 관련 "이번 계엄이 왜 내란이냐. 어떻게 내란이 될수 있나"라고 반박했다.
윤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는 이날 서울구치소에 수감중인 윤 대통령을 접견한 뒤 윤 대통령이 "거대 야당이 지배하는 국회 독재 때문에 나라가 위기에 처한 것으로 대통령으로서 판단해 주권자인 국민에게 이러한 위기 사항을 알리고 호소하고자 헌법상의 권한으로 계엄을 선포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국회가 헌법에 정한 방법으로 해제를 요구해 즉각 계엄을 해제했다"면서 "모든 게 헌법 테두리 내에서 이루어진 일"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이번 계엄으로) 유혈 사태가 있었나, 인명 사고가 단 한 건이라도 있었나"라면서 "정치인들 단 한명이라도 체포하거나 끌어낸 적이 있는가. 그런 시도라도 한 적이 있는가"라면서 내란이 될 수 없다는 취지를 적극 피력했다고 석 변호사는 전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