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서울 상위 1% 부동산 임대소득 4.3억…전북·경북·경남은 1.3억

뉴스1

입력 2025.01.29 08:20

수정 2025.01.29 08:20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와 빌라촌. (뉴스1 DB). /뉴스1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와 빌라촌. (뉴스1 DB). /뉴스1


(세종=뉴스1) 손승환 기자 = 서울 거주자 중 부동산 임대소득 상위 1%에 해당하는 사람의 평균 임대소득은 4억 3000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도 가운데 상위 1%의 임대소득이 가장 낮았던 전북·경북·경남 등과 비교하면 약 3.3배 격차가 났다.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지역별 부동산 임대소득 신고현황'에 따르면 2023년 종합소득세 신고자 중 부동산 임대소득을 신고한 서울 거주자는 36만 370명이었다.

이들이 신고한 부동산 임대소득은 총 8조 8522억 2900만 원으로, 1인당 평균 소득은 2460만 원이었다.

이중 상위 1%에 해당하는 3603명의 총 소득은 1조 5501억 9700만 원이었다.


전체 임대소득의 17.5%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1인당 4억 3000만 원의 소득을 거둔 셈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금액이기도 하다.

서울 다음으로 상위 1%의 부동산 임대소득이 높은 제주였다.

제주의 상위 1%인 164명의 총 임대소득은 371억 원으로, 1인당 평균 소득은 약 2억 3000만 원이었다.

이어 대구(2억 2000만 원·487명), 경기(2억 1000만원·3663명)와 부산(2억 1000만 원·710명), 인천(1억 9000만 원·632명) 등 순이었다.

반면 전북(258명)과 경북(384명), 경남(529명) 등 3곳은 상위 1%의 임대소득이 1억 3000만 원으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임 의원은 "지역별 경제활동 및 주택 인프라 수준에 따라 부동산 임대소득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각 지역의 전월세 주택 수요 및 공급 현황을 분석해 임대주택의 안정된 공급 확대와 임차료 부담 완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실손보험 개혁안, 여러분의 생각은?

실손보험이란 국민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에 대해 보험사가 최대 90%까지 금액을 돌려주는 보험인데요. 그러다 보니 비급여 진료에 대한 과잉진료가 늘어 보험사들이 적자를 보고 의료비가 오르는 등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에 개혁안에 본인 부담률을 90%로 높이는 내용이 포함되었는데요. 그렇다면 여러분은 실손보험 개혁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1-14 ~ 2025-02-04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