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박용철 강화군수 "군민 통합, 하나의 목소리로 군정 운영"[신년인터뷰]

뉴시스

입력 2025.01.29 09:01

수정 2025.01.29 09:01

"북한 소음 피해 대책 및 군민통합위 설치 성과" "올해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 힘 쏟을 것"
[인천=뉴시스] 박용철 강화군수. (사진=강화군 제공) 2025.01.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인천=뉴시스] 박용철 강화군수. (사진=강화군 제공) 2025.01.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인천=뉴시스] 김동영 기자 = 민선 8기 제10대 강화군수로 당선된 박용철 군수가 취임 100일을 맞았다.

박 군수는 지난 23일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7개월간 공석이었던 군정을 신속히 안정시키고 현장 중심 행정으로 군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밝혔다.

취임 직후 가장 큰 현안은 북한의 대남 방송 소음 문제였다. 박 군수는 피해 주민들과 면담을 통해 강화군 전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지정하고, 대북 전단 살포를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와 함께 소음 피해 저감을 위해 방음창 설치 지원을 시작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첫 설치된 방음창은 콘크리트 주택 기준으로 80~90%, 일반 주택 기준으로는 60% 정도의 소음 감소 효과를 보였다는 평가다.

올해에는 4억9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강화읍과 주변 지역의 소음 지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구체적인 피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지원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박 군수는 군정 목표인 ‘군민 소통과 화합’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제1호 공약인 ‘군민통합위원회’가 조례 통과를 마치고 오는 3월에 출범하며, 군수와 주민이 직접 대화할 수 있는 ‘찾아가는 이동군수실’도 운영을 시작했다.

또한, 인천시 의회 예결위원장 경험을 살려 작년보다 90억 원 증액된 강화군 예산 확보도 주요 성과 중 하나다.

2025년은 강화군의 미래를 결정지을 주요 사업들이 기다리고 있다.

박 군수는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농업과 관광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고, 복지와 문화 인프라 확대에도 주력할 예정이다.

다음은 박 군수와의 일문일답.

-취임 후 가장 시급했던 현안은 무엇인가.

"북한의 대남 방송 소음 피해가 가장 큰 문제였다. 주민들과 면담을 통해 피해를 파악한 뒤 전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지정하고, 대북 전단 살포를 금지했다. 또한, 방음창 설치를 지원했는데, 일부 주택에서는 80~90%의 소음 저감 효과를 봤다. 하지만 아직 완벽한 해결은 아니며, 올해 소음 지도를 작성해 피해 지원을 체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남은 임기 동안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할 과제는 무엇인가.

"군민통합위원회의 출범과 소통 강화가 가장 중요하다. 강화는 소규모 씨족 사회로, 선거를 거치며 편 가르기 정치로 인한 갈등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주민 대표 10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출범시켜 하나의 목소리로 군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2025년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기대하는 변화는 무엇인가.

"강화남단은 인천공항과 15분 거리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곳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면 농업, 관광, 바이오 단지 등 강화군만의 특색 있는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특히, 스마트팜 기반 첨단 농업과 해양경관 자원을 활용한 관광 테마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지막으로 군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군민 여러분의 성원이 있었기에 지금까지의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남은 임기 동안 초심을 잃지 않고 강화의 발전을 위해 군민들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
☞공감언론 뉴시스 dy01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딥시크(DeepSeek), AI 판도 바꾸나

중국에서 개발한 저비용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가 출시되었습니다. 오픈AI가 만든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자랑하지만, 개발비는 20분의 1수준인 550달러에 그쳐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저렴한 비용, 우수한 성능, 빠른 처리 속도 등과 같은 장점들과 오픈AI와 다른 오픈 소스 전략을 도입한 딥시크. 이로인해 AI 생태계의 주도권이 중국에 넘어가진 않을지 모두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생각하기에 딥시크가 AI 시장의 경쟁의 판도를 흔들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04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