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에어부산 "화재, 선반에서 시작"... 대한항공도 지원팀 급파

김동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29 13:09

수정 2025.01.29 13:09

승무원·탑승객 모두 "후미 선반에서 화재"
사조위 현장 조사로 사고원인 규명 돌입
대한항공도 그룹 차원 안전·정비 인력 파견
박형준 부산시장 등이 29일 부산 강서구 부산지방항공청 대회의실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BX391편 화재 사고와 관련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뉴스1
박형준 부산시장 등이 29일 부산 강서구 부산지방항공청 대회의실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BX391편 화재 사고와 관련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원인으로 선반 속 정체불명 물체가 주목 받고 있다. 현장 승무원과 승객들은 "선반에서 불이 시작됐다"고 증언하고 있다. 정부는 철저한 원인 규명을 통한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표명한 가운데, 대한항공도 지원 인력을 파견해 사고조사 공조 체계를 구축했다.

에어부산은 지난 28일 김해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여객기 화재에 대해 "기내 후미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29일 설명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화재를 최초 목격한 승무원이 후방 좌측 선반에서 발화를 목격했다고 증언했다"라며 "화재 발생 이후 신속한 화재 대피로 탑승 손님과 승무원 모두 인명피해 없이 전원 대피했다"고 밝혔다.
이어 "기내 화재로 피해를 입으신 모든 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다수의 탑승객들도 기내 수하물을 두는 선반에서 타닥 소리와 연기가 났다는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사고 초기에는 항공기 보조동력장치(APU)에서 불이 났을 거란 추측이었지만, 증언에 따라 승객 수하물이 사고 원인이라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지난 28일 오후 10시 15분께 김해공항 계류장에서 총 176명(승객 169명, 승무원 6명, 정비사 1명)을 태운 에어부산 여객기는 이륙을 준비하던 중 기내 뒤쪽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탈출 안내 방송이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화재 확인 즉시 캐빈 승무원이 기장에게 상황을 보고했고, 기장은 2차 피해가 없도록 유압 및 연료계통 즉시 차단 후 비상탈출을 선포해 신속하게 전원 대피를 완료했다"며 "별도의 안내방송을 시행할 시간적 여력이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긴박하게 이루어진 상황으로, 절차에 의거해 신속하게 조치하여 탈출업무를 수행했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탑승객과 승무원 총 176명 중 110명(탑승객 105명)은 자택으로 귀가, 65명은 호텔에 투숙 중이다. 1명은 입원 치료 중이다.

항공기에 대한 피해는 기체는 반소되고 양측 날개와 엔진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조사관이 이날 오전 5시 55분부터 현장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박상우 국토부장관은 오전 10시 30분 중앙사고수습본부를 방문해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에 이어 잇따른 항공기 사고가 발생해 사고기에 탑승한 승객과 국민들께 송구한 심정"이라며 "철저한 원인 규명을 통한 재발방지 대책 마련과 함께 피해자 지원과 보상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항공도 에어부산 여객기 사고와 관련, 현장에 안전·정비 지원 인력을 파견하며 정부와 공조 체계를 구축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에어부산과 적극 소통하며 그룹 차원 지원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어부산도 현재 초동조치팀과 비상대책반을 운영 중이다.

한편 승객 보상과 관련, 에어부산은 삼성화재에 기체 및 승객 보험에 가입해 있다. 승객 상해 및 수하물에 대한 보상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초임 공무원 월급 인상, 여러분의 생각은?

과거 안정적인 직장으로 선호도가 높았던 공무원이 어느 순간부터 기피하는 직업이 되었죠. 이들의 처우를 위해 9급 공무원의 보수를 월 300만 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무주택 공무원의 주거 부담 완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도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여러분은 이 같은 공무원 처우 개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04 ~ 2025-02-18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