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집주인 못 믿겠다" 피같은 내돈 떼일라...주택 월세 비중 60% 육박

최가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30 11:22

수정 2025.01.30 11:22

서울의 한 빌라 밀집지역.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빌라 밀집지역.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주택 월세 비중이 역대 최고치인 60%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금리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팔라지고 있는 것이다.

30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 총 247만6870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142만8950건으로 전체 거래의 57.7%를 차지했다.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통계를 보면 주택 월세 비중은 2020년까지만 해도 40.8%에 그쳤다.
이후 2021년 43.8%로 오른 뒤 2022년에 처음으로 51.9%를 기록하며 전체 전월세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어 2023년에는 54.9%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57%를 넘어선 것이다.

시장에서는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연립·다세대) 시장의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월세 비중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빌라 시장은 전세금 반환 차질을 우려한 임차인들이 보증금을 낮추는 대신 월세로 돌리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 아파트 역시 고액 월세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지난해 지역별 주택 월세 비중은 제주도가 78.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10건의 임대차 계약 중 약 8건 가량이 월세인 셈이다. 이어 충남이 64.0%로 뒤를 이었고 대전 63.4%, 부산 62.1%, 경남 6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going@fnnews.com 최가영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