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주택 월세 비중이 역대 최고치인 60%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금리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팔라지고 있는 것이다.
30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 총 247만6870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142만8950건으로 전체 거래의 57.7%를 차지했다.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통계를 보면 주택 월세 비중은 2020년까지만 해도 40.8%에 그쳤다. 이후 2021년 43.8%로 오른 뒤 2022년에 처음으로 51.9%를 기록하며 전체 전월세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이어 2023년에는 54.9%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57%를 넘어선 것이다.
시장에서는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연립·다세대) 시장의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월세 비중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빌라 시장은 전세금 반환 차질을 우려한 임차인들이 보증금을 낮추는 대신 월세로 돌리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 아파트 역시 고액 월세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지난해 지역별 주택 월세 비중은 제주도가 78.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10건의 임대차 계약 중 약 8건 가량이 월세인 셈이다. 이어 충남이 64.0%로 뒤를 이었고 대전 63.4%, 부산 62.1%, 경남 6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going@fnnews.com 최가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