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尹 탄핵 인용해야" 58% vs "기각해야" 39%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30 18:12

수정 2025.01.30 18:12

연휴기간 여론지형 변화 조짐
연초와 비교해 설 연휴 기간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찬반 여론지형에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탄핵인용 응답률이 탄핵기각 응답률 보다 여전히 높았지만, 그 격차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신년 만해도 70%에 달했던 윤 대통령 탄핵인용 여론이 한달 가까이 지난 설 연휴에는 9~11%p 하락해 50%대를 기록한 반면, 20%대에 머물던 탄핵기각 여론은 10~13%p 올라 40%에 육박, 찬반 격차가 기존 40%에서 20% 수준으로 급격히 좁혀졌다. 30일 주요 여론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리서치가 KBS 의뢰로 지난 24~26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 전화면접 조사로 '탄핵 찬반' 의견을 질문한 결과에선 탄핵 인용 응답률은 60%, 탄핵 기각 응답률은 36%였다. 신년 여론조사에 비해 '탄핵 인용' 응답은 9%p 내렸고, '탄핵 기각'은 10%p 오른 것이다.


코리아리서치가 MBC 의뢰로 지난 27~28일 전국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면접조사에선 '탄핵안 인용' 응답이 58%, '탄핵안 기각' 응답은 39%로 나타났다. 지난 1일 발표된 조사 결과와 비교해 탄핵 인용은 11%p 줄어든 반면, 탄핵 기각은 13%p 늘었다.

지난해 연말 조사된 결과에선 탄핵 인용 여론이 70%대 달하고 탄핵 기각 여론은 20% 초중반에 그쳤지만, 한달 정도 지난 설 연휴 민심에선 탄핵 찬반 여론지형에 변화가 일어난 것이란 분석이다.

이같이 탄핵기각 여론이 상승세를 보인 것은 보수층의 결집이 단단해진 것 외에도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과정에서 불거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위법 논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던 이유에 대한 공감대가 늘어난 것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실제 한국리서치 조사에서 공수처가 주도한 윤 대통령 체포, 구속 과정에 대해 '수사에 필요한 적법한 조치였다'는 57%, '내란죄 수사권 없는 공수처의 불법 조치'라는 응답은 40% 로 조사됐다.

특히 윤 대통령이 지적했던 더불어민주당 등 거대야당의 잇따른 국무위원 탄핵에 대해 '정부 기능을 마비시키는 과도한 권한 사용'이란 응답이 47%, '정부 견제를 위한 정당한 권한 사용'이란 응답은 44%로 오차 범위 내로 나타났다.

코리아리서치에서 조사한 "비상계엄은 야당에 대한 경고성 계엄으로, 탄핵 사유가 아니다"라는 윤 대통령의 주장에 대한 공감 여부의 경우, '공감하지 않는다'는 58%, '공감한다'는 41%로 나타났다.

정치권 관계자는 "계엄 사태 이후 윤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는 일방적이던 여론이 다시 한번 살펴봐야겠다는 기류로 변했다"면서 "국무위원 탄핵에 대한 평가나 공수처 수사 등에 대한 여론이 비교적 높은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해당 조사들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