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은행권이 사회적 과제인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다투어 직원들에 대한 육아·출산 복지 혜택을 강화하고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하나은행은 2024년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해 직원들에 대한 출산 및 육아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먼저 하나은행은 출산 경조금을 최대 500만 원(넷째 기준)에서 최대 2000만 원까지 상향했다. 첫째는 500만 원이며, 자녀를 한명 더 낳을 때마다 경조금도 500만 원씩 늘어난다.
이에 더해 유·사산 위로금(50만 원)을 신설했으며 유아교육 보조비도 자녀당 연 240만 원으로 확대했다.
국민은행 역시 최근 타결된 임단협 합의안에 출산 및 육아 관련 복지제도를 추가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기존 2년이었던 육아휴직 기간을 2년 6개월로 늘리고, 난임 휴가도 기존 연 최대 3일에서 6일로 확대했다.
앞서 국민은행은 지난해 6월 저출생 극복을 위해 노사 간 합의를 통해 △출생 장려금 상향 △난임 의료비 지원 강화 △배우자 출산 휴가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활성화 등을 담은 복지·인사제도 개편안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국민은행도 직원이 출산하면 1명당 최대 2000만 원의 장려금을 지원한다. 첫째 1000만 원, 둘째 1500만 원, 셋째 2000만 원으로, 자녀 수가 많아질수록 장려금 액수도 늘어난다. 난임 치료비도 최대 1000만 원까지 지원되며, 배우자 출산 휴가도 20일까지 부여된다.
우리은행도 이번 임단협 과정에서 육아휴직을 2년 6개월로 늘리고, 배우자 출산 휴가도 20일까지로 개선했다. 농협은행 역시 배우자 출산 휴가를 20일로 늘리고, 난임 치료 휴가도 3일에서 6일로 확대했다.
'저출생 극복'은 은행권 노사가 함께 관심을 가지는 주제다. 금융권 산별노동조합인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사용자 측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지난해 산별교섭 합의안에 앞으로 저출생 해결을 위한 공동으로 노력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금융권 노사는 산별교섭을 통해 초등학교 1~2학년 자녀를 둔 직원의 출근 시간을 30분 늦추기로 하고,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자녀를 둔 부모 직원에게 아이 돌봄을 위한 근로시간 단축 선택권을 확대하기로 했다. 더불어 육아휴직 기간에서 산전·산후 휴가기간을 제외해 실제 육아휴직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함께 실렸다.
또한, 금융권 노사는 지난 10월 '저출생 극복을 위한 금융 노사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해당 선언문에는 △출산·육아 지원 강화 △일·생활 균형 및 가정 친화적 환경 조성 △저출생 극복을 위한 연구·조사 진행 등의 과제가 포함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