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iM증권 "딥시크 등장에 AI 투자 효율성 부각…엔비디아에 악재"

연합뉴스

입력 2025.01.31 08:31

수정 2025.01.31 08:31

iM증권 "딥시크 등장에 AI 투자 효율성 부각…엔비디아에 악재"

CES 기조연설 나선 젠슨 황 (출처=연합뉴스)
CES 기조연설 나선 젠슨 황 (출처=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곽윤아 기자 = iM증권은 31일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투자의 효율성이 부각되며 선두 AI 칩 업체인 엔비디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명섭 연구원은 "딥시크의 성공 모델이 사실이라면 이제 AI 혁신은 얼마나 지출하는지가 아니라 얼마나 효율적으로 개발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며 "빅테크 업체들은 대규모 지출보다는 효율적인 투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는) 엔비디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공산이 있다"며 "현재까지 엔비디아의 고성장은 끊임없이 신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출시하고 이를 AI 개발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구매해왔음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러나 구형 저성능 GPU로 구현된 딥시크의 성공이 엔비디아의 성장 모델에 의문을 제기하는 상황이 됐다"며 "향후 고객들은 무조건 초고가 AI GPU를 구매하기보다는 효율성과 비용을 감안해 GPU를 구매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또한 "이러한 추세가 일반화될 경우 GPU 내 D램 채용량이 정체 또는 감소하며 향후 고대역폭 메모리(HBM)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엔비디아의 최신 GPU에 고용량, 고성능 HBM을 공급하며 동반 성장해온 D램 업체들에도 당분간은 쉽지 않은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약 미국 정부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GPU의 판매를 향후 모두 금지하게 된다면,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GPU에 HBM을 공급해온 한국 D램 업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o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