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삼성전자 4분기 성적표 공개 앞둬…반도체 영업이익은 3조 안팎 예상

임수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31 09:00

수정 2025.01.31 09:00

범용 메모리 부진에 HBM에서 뚜렷한 성과 못 내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가 지난해 4·4분기 및 연간 실적 공개를 앞둔 가운데, 반도체(DS) 부문 성적표에 관심이 모인다.

PC와 스마트폰 등의 수요 침체와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로 주력인 범용(레거시) 메모리가 부진하고,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반도체 부문의 4·4분기 영업이익은 3조원 안팎에 그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31일 지난해 4·4분기 및 연간 확정 실적과 함께 사업부별 세부 실적을 발표한다.

앞서 지난 8일 발표한 잠정 실적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연결 기준 작년 4·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5조원과 6조5000억원이다. 이는 전 분기와 비교하면 각각 5.18%, 29.19% 감소한 수준이다.


증권가에서는 당초 10조원 안팎으로 예상했던 4·4분기 영업이익 눈높이를 최근 7조원대로 낮춰잡았지만, 실제로 발표된 잠정 실적은 이미 낮아진 시장의 눈높이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설명 자료를 내고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 부문은 정보기술(IT)용 제품 중심의 업황 악화로 매출과 이익이 하락했고 (세트 제품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모바일 신제품 출시 효과 감소와 업체 간 경쟁 심화로 실적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DS 부문의 경우 PC와 모바일 등 범용 제품의 수요 부진에 따른 고객사 재고 조정과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로 인한 메모리 가격 하락 등으로 실적이 부진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고부가 제품인 HBM 수요가 늘고 있지만, 삼성전자의 경우 아직 HBM 5세대인 HBM3E의 품질 테스트가 진행 중이어서 실적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DS 부문의 4·4분기 영업이익이 3조원 안팎에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적 부진에도 미래 준비를 위한 투자 기조를 이어가는 가운데 연간 연구개발(R&D)과 시설 투자비는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