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삼성전자 "지난해 4분기 HBM 매출 1.9배 증가"

뉴시스

입력 2025.01.31 11:29

수정 2025.01.31 11:29

HBM3E 50% 매출 비중 하회 추정 삼성 "1Q, HBM 판매 제약 전망"
[서울=뉴시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GTC 2024' 행사에 전시된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 12단 'HBM3E'에 친필 사인을 남겼다.
[서울=뉴시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GTC 2024' 행사에 전시된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 12단 'HBM3E'에 친필 사인을 남겼다.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매출이 인공지능(AI) 시장 확대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약 두 배 증가했지만 시장 전망치보다는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5세대 'HBM3E' 매출 또한 4세대 'HBM3'를 넘어섰지만 지난해 3분기 예상한 HBM3E 매출 비중 50%는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31일 오전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전화회의)을 통해 "HBM 매출은 올해 1분기 목표로 준비 중인 HBM3E 계획이 맞물리며 전분기 대비 1.9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4분기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사와 데이터센터 공급향으로 HBM3E 공급을 확대해 HBM3의 매출을 넘어섰다"며 "HBM3E 개선 제품도 계획대로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부터 HBM3E 8단과 12단 제품을 양산 판매하고 있다.
다만 HBM3E의 엔비디아 공급 지연 등 영향으로 HBM3E의 전체 매출 비중은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HBM3E 공급과 관련해 "주요 고객사 퀄테스트(품질검증) 과정상 중요한 단계를 완료한 유의미한 진전을 확보했다"며 "4분기 HBM3E 비중은 50%가 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지난해 4분기 엔비디아 공급을 기대했지만 퀄테스트 통과가 지연되면서 HBM3E 매출 비중 또한 50%를 밑돌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삼성전자는 이번 콘퍼런스콜에서 HBM3E 개선 제품 공급을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HBM3E 개선 제품을 계획대로 준비 중인데 일부 고객사에 1분기 말부터 공급할 예정이고, 2분기부터 가시적 공급 증가를 전망한다"고 밝혔다.

올 1분기 HBM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HBM에 대한 일시적인 판매 제약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최근 미국 정부 첨단반도체 수출 통제 영향 뿐 아니라 당사의 HBM3E 12단 개선 제품 발표 이후 기존 고객사들의 수요 이동으로 HBM의 일시적 수요 공백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고객 수요가 HBM3E 8단에서 12단으로 빠르게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광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은 올해 HBM 실적 성과가 매우 중요하다"며 "HBM3E 12단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 75조7883억원, 영업이익 6조4927억원을 올렸다고 31일 밝혔다. 사업부문별로는 반도체 사업을 맡고 있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의 영업이익이 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30조1000억원이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 75조7883억원, 영업이익 6조4927억원을 올렸다고 31일 밝혔다. 사업부문별로는 반도체 사업을 맡고 있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의 영업이익이 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30조1000억원이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leejy5223@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동해 가스전 탐사, 여러분의 생각은?

동해 포항 앞바다 수심 2km 심해에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전을 찾는 탐사 프로젝트였던 '대왕 고래' 프로젝트가 첫 시추만에 실패했습니다. 총 7개의 유망구조 (석유나 가스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지층 구조) 중 6개의 유망구조가 남은 상황에 대한 후속 탐사를 이어가겠다는 정부의 입장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왕 고래 프로젝트'와 동해 가스전의 추가 탐사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