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정책

정부가 밀어주는 “367조 STO 시장 잡아라”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2.21 06:00

수정 2025.02.21 06:00

금융당국, 토큰증권발행(STO) 제도화 시동<BR>
삼일PwC경영연구원 “‘30년 367조로 성장”<BR>
사진은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통해 제작한 STO 투자 이미지.
사진은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통해 제작한 STO 투자 이미지.

[파이낸셜뉴스] 금융당국이 금융사의 가상자산 직접투자는 제동을 건 반면,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증권발행(STO) 등 자산 유동화는 지원키로 하면서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글로벌 금융권을 중심으로 STO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해외사례를 적극 벤치마킹하는 모습이다.

21일 국회 및 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주요 입법과제로 ‘토큰증권(STO)도입 및 유통제도 정비’를 다시 추진한다. 자본시장법과 전자증권법 개정을 통해 분산원장 기반 전자증권 발행 허용 및 투자계약증권 등에 대한 장외거래중개업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핵심이다.

앞서 법정자문기구인 가상자산위원회도 금융과 가상자산 간 리스크 전이를 우려해 금융사의 가상자산 참여에 신중한 접근을 권고하면서도 ‘토큰화’와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에는 방점을 찍었다.

코스콤이 대표이사 직속으로 STO 사업추진 TF를 신설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우선 채권, 펀드 등 전통적 금융자산을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에서 토큰화하여 유동성 및 접근성을 개선하고 시장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 축이다. 일례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등 주요 사모펀드(PE)의 출자자(LP) 지분을 잘게 쪼개 토큰화한 뒤, 소액 개인투자자도 투자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확대하는 형태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운영하고 있는 ‘블랙록 USD 기관 디지털 유동성 펀드(BUIDL, 비들)’ 역시 총 자산가치가 6억5242만 달러에 달한다. 주로 미국 국채에 투자하며, 수익증권 대신 1달러에 가치를 고정한 비들 토큰을 발행·지급한다.

블록체인 인프라 핵심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와 채권 발행을 비롯해 신디케이트 론 자동화도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골드만삭스의 경우,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RP거래를 자동화, 국경 간 거래비용을 줄이고 있다. UK 파이낸스도 매수주문, 중개기관 청산, 채권토큰 발행 등 채권발행 절차를 블록체인 상에 구현해 발행시간 및 비용 절감효과를 누리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직접 매매・보유 이슈는 향후 글로벌 건전성 규제 정비 등과 연계해 중장기 검토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금융부문 토큰화 및 블록체인 인프라 접목 등을 우선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권이 핀테크 및 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다양한 투자가 가능하도록 지주회사 출자제한 완화 등도 추진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삼일PwC경영연구원에 따르면 조각투자 등 STO 시장의 국내 시가총액은 2024년 34조원에서 오는 2028년 233조원, 2030년에는 367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2030년 기준 국내조각투자 시장의 주요 부문별 비중은 △비금융자산 29.8% △주식 24.2% △부동산19.9% △기타금융자산 18.6% △펀드 및 채권 7.5%로 추산됐다. 삼일PwC경영연구원 측은 “국내에서는 다른 자산보다도 부동산 분야가 STO 대중화에 빠르게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부동산의 경우 다른 자산 대비 밸류에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치산정과 실물거래시기가 예측가능하고 완공된 실물부동산을 기초자산으로 삼기 때문에 배당안정성 및 환금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