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미국 관세 피해 중기 경영 정상화 추진...대기업도 협조 요청"

서지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05 18:42

수정 2025.03.05 18:42

오영주 "대기업 납품기업 피해 최소화"
중기부, 정책자금 패스트트랙 도입
해외법인에 600억원 정책자금 공급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오른쪽)이 5일 경기 시흥에 위치한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율촌을 방문해 미국의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시행에 따른 영향 및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오른쪽)이 5일 경기 시흥에 위치한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율촌을 방문해 미국의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시행에 따른 영향 및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미국 관세 조치에 따라 발생하는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점검하고 관세 피해 기업의 신속한 경영 정상화, 수출국 다변화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 장관은 이날 경기 시흥에 위치한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율촌을 방문해 "해외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기업에도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중기부는 미국의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시행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기업 애로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

이흥해 율촌 회장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미국 현지 바이어와의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개별기업 차원의 대응 방안 마련과 함께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부과는 지난 2월 4일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한 달 간 유예됐다.

관세가 시행되면 대기업과 함께 캐나다, 멕시코에 동반 진출한 중소기업과 캐나다, 멕시코를 통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중소기업들은 큰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기부는 지난해 11월부터 트럼프 2기 대응 TF를 구성하고 운영 중에 있다. 지난 2월 18일에는 '중소·벤처기업 수출지원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중기부는 관세 조치에 따른 피해 기업 경영난 완화를 위해 15개 수출지원센터에 애로신고센터를 설치해 미 관세 조치에 따른 피해접수와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경영애로 발생 기업에 대해 긴급경영안정자금 등을 통한 신속한 경영 정상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수출국 다변화를 추진하는 기업들을 신속지원하기 위해 '정책자금 패스트트랙'도 도입했다. 앞으로 수출컨소시엄과 수출바우처 운영 시에도 미국 관세조치에 영향받은 중소기업을 우선 지원해 신규 바이어 발굴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외 현지에 법인을 설립한 중소기업들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올해부터 처음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법인에 대해 6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공급한다. 대기업과 함께 해외 현지법인을 설립하거나 다른 국가로 이전을 추진하는 중소기업들에 대해서는 최대 3년간 10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