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회생절차 직전 사채 대거 발행
도덕적 해이와 ‘먹튀’ 철저히 따져야
도덕적 해이와 ‘먹튀’ 철저히 따져야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채권 '사기판매' 의혹이 일파만파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 직전에 개인투자자에게 판매한 단기채권이 2000억원대에 이르고, 1조원대 리츠·부동산펀드에도 일반투자자의 자금이 상당액 들어간 것으로 드러났다.
김병주 MBK 회장이 사재를 출연하고, 채권 변제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히긴 했으나 도덕적 해이와 '먹튀' 논란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를 따져 묻기 위해 국회 정무위원회가 18일 김 회장과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등을 증인으로 불렀는데 출석은 불투명하다.
논란의 핵심은 개인들에게 대거 판매한 홈플러스 채권 사기발행 의혹이다.
특히 신용등급이 투기등급 직전 단계로 하향 조정되기 직전인 지난달 25일 당일에 820억원어치의 ABSTB를 발행했다.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던 개인투자자와 일반법인에 채권을 팔아 손실을 떠넘겼다는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다. 투자자를 기만한 일종의 사기라고 볼 수밖에 없다. 금융당국은 MBK는 물론 발행 증권사 등 이해당사자들을 집중 조사해 의혹을 철저히 밝혀야 할 것이다.
홈플러스는 자구노력 없이 지난 4일 새벽 기습적으로 회생절차를 밟았다. 법정관리를 준비했다면 하루이틀에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투자금 회수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사모펀드 대주주부터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과 단기채권 발행 등 일련의 과정을 사전에 인지했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
그간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했던 MBK와 김 회장이 뒤늦게 사재를 출연해 밀린 정산금을 신속히 지급하겠다고 했는데, 당연한 조치로 높이 평가할 것도 없다. MBK는 이미 2조원대의 투자금을 회수한 이상 법정관리로 손해를 보는 것은 없다고 봐야 한다.
홈플러스 사태는 그간 증시를 밸류업한다고 호들갑을 떤 정부 정책과 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엄중한 사안이다. 2만여명의 종업원과 수천여 납품업체, 입점업체 등의 소상공인, 중소업체들이 피해자다. '티메프' 사태처럼 정작 피해자 긴급 지원에 정부가 정책자금을 쓴다면 소상공인 보호에 앞서 사모펀드에 특혜를 주는 꼴이 될 것이다.
재차 강조하지만 금융당국은 MBK파트너스를 엄정히 조사해 여러 의혹을 샅샅이 밝혀야 한다. 사기판매 정황이 확인되면 엄한 처벌이 따라야 한다. 공권력 사각지대에서 활개를 쳤던 사모펀드 관리실태를 재점검하고 대기업 인수합병의 규제 허점을 차단해 재발 방지책도 찾아야 한다. 이번 사태를 잘 처리하지 못하면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니 밸류업이니 하는 소리는 공허한 외침일 뿐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