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울시·현대차, 4월초 'GBC 협상' 첫 단추…"공공기여 합의 관건"

뉴스1

입력 2025.03.31 06:05

수정 2025.03.31 09:14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들어설 현대자동차그룹의 신사옥 단지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조감도. 축구장 2배 크기의 시민 개방형 도심숲이 단지 중앙에 자리한 모습(현대차그룹 제공)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들어설 현대자동차그룹의 신사옥 단지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조감도. 축구장 2배 크기의 시민 개방형 도심숲이 단지 중앙에 자리한 모습(현대차그룹 제공)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서울시가 다음 달 현대차그룹이 변경 제출한 글로벌 비즈니스 콤플렉스(GBC) 설계안의 적절성을 들여다본다. 현대차와 본격적인 협상에 나서기 위해서다. 협상의 주요 쟁점은 현대차가 부담해야 할 공공기여(기부채납) 규모다.

31일 서울시에 따르면 4월 초부터 현대차(005380)가 2월 말 제출한 GBC 부지 개발 계획안을 두고 협상조정 협의회를 개최한다.

협의회에서는 서울시와 현대차 관계자에 이어 약 5명의 교통·도시계획·건축 분야 전문가가 모여 GBC 건축 설계 변경안의 적절성을 살펴본다.



변경안에 따르면 현대차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옛 한국전력 부지에 기존 '105층 1개 동' 대신 '54층 3개 동'의 신사옥을 짓겠다는 계획이다. 54층 동에는 현대차 본사와 호텔, 전망대, 상가 등이 입주한다. 저층 동에는 공연장과 전시장 등이 들어선다.

서울시 관계자는 "변경된 건축 계획의 타당성과 공공기여 계획·교통처리 계획이 주요 협상 의제"라며 "앞으로 3~4개월간 협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협상의 핵심 쟁점으로 현대차의 공공기여액을 꼽는다. 설계 계획이 바뀌면서 전체 연면적이 증가한 데 이어 GBC 부지의 공시지가가 대폭 상승했기 때문이다.

임만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의원은 지난해 4월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 위원회 회의에서 "GBC 부지 표준 공시지가는 2017년 1㎡당 3350만 원에서 올해 1㎡당 7565만 원으로 2배 넘게 올랐다"며 "사업 기간이 길어지며 계획이 크게 변경된 만큼, 2016년에 산정한 기부채납 규모가 적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번 공공기여금 협상은 최소 1조 9857억 원에서 시작할 것으로 관측된다. 사업 추진 초기였던 2016년 당시 서울시와 합의한 1조 7491억 원에서 105층 조성을 전제로 서울시가 감면해 준 2366억 원을 더한 금액이다.

당초 현대차는 105층에 전망대를 만들어 시민에게 개방하기로 했고, 이에 시는 현대차가 부담할 기부채납액을 덜어줬다.

시는 이번 협상 결과를 반영해 도시계획(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협상이 신속히 진행되면 연내 최종적으로 도시계획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내년쯤 건축 허가 절차가 이뤄지고, 이 단계에서 법적인 교통영향평가 심의 등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2020년 착공한 이후 5년간 터파기 작업에 그친 GBC 부지 개발 사업에 이제야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2014년 삼성동 옛 한전 부지를 10조 5500억 원에 매입했고, 2016년 105층 사옥을 짓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그러다 지난해 2월 105층이 아닌 55층을 짓겠다는 설계 변경안을 시에 제출했고, 결국 5개월 만에 기존 입장을 바꿨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