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본격적인 농번기가 시작되면서,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에서는 외국인 노동자가 핵심 인력으로 떠올랐다. 실제 비전문취업 비자를 통해 국내에서 일하고 있는 외국인은 3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3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전문 취업비자(E-9)를 받아 체류 중인 외국인은 30만 3000명이며 이 중 80.5%가 광·제조업에 종사하고, 농림어업(14.4%), 건설업(3.0%)이 그 뒤를 이었다.
농촌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 전반에 걸친 인력난 해소에 외국인 근로자가 기여하면서, 국내 거주 외국인의 편리하고 안정적인 한국 생활을 지원하는 민간 서비스도 이들의 한국 내 정착을 도우며 주목받고 있다. 외국인의 접근성, 사용 편의성을 높인 해외 송금 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글로벌 외환 토탈 솔루션 기업 센트비의 개인용 소액 해외 송금 서비스는 빠르고 간편한 절차와 기존 은행 대비 90% 이상 낮은 수수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국으로의 정기적인 송금이 필요한 외국인 근로자는 물론 주재원, 유학생 등 가족의 해외 거주로 잦은 송금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한 서비스로 인기가 높다. 언제, 어디서나 최소 5분 이내에 전 세계 50개 이상 국가로 송금할 수 있다는 점도 사용자에게 매력적이다.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의 언어 장벽에 따른 어려움은 다국어 CS 센터 운영으로 돕고 있다. 온·오프라인에서 영어와 베트남어, 태국어, 필리핀 타갈로그어, 네팔어 등 다국어로 CS 상담을 지원해 외국인의 사용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였다. 또, 해외 현지 환경 및 개인의 상황을 고려해 카드송금, 캐시 픽업, 캐시 딜리버리, 모바일 월렛 등 다양한 수취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센트비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편리한 금융 생활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한국 생활 정착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매월 인도네시아인을 대상으로 열리는 온라인 한국어 수업은 언어 교육은 물론 한국 생활에 유용한 필수 정보를 모국어로 제공한다. 국내 거주 외국인들의 여가 활동을 지원하고, 문화 교류의 역할을 하는 스포츠 대회도 운영해 한국 생활 정착을 돕고 있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