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아세안 의장국 말레이시아와 美관세 공동 대응 나서
아세안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 요구 목소리 커져
아세안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 요구 목소리 커져

【자카르타(인도네시아)=치트라 클라우디아 살사빌라 통신원】 인도네시아 정부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의장국 말레이시아와 공동 대응에 나섰다. 이에따라 향후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받게 되는 아세안 국가들의 공동대응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4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전날 공식 성명을 통해 아세안 10개국이 모두 영향을 받는 만큼 협력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지난 2일에 인도네시아(32%)를 비롯해 △캄보디아(49%) △라오스(48%) △베트남(46%) △미얀마(44%) △태국(36%) △브루네이·말레이시아(36%) △필리핀(17%) △싱가포르(10%) 등 상대적으로 아세안 국가들에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정부가 미국과 소통을 지속하며 고위급 대표단을 워싱턴 D.C.에 파견해 직접 협상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추가 협상에 돌입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와의 협의를 통해 아세안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에 나섰다.
동남아시아 지역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의 조치가 아세안이 내부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이나 유럽과의 협력을 모색하도록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에반 페이겐바움 인도네시아 외교정책 평론가는 "미국의 일방적 관세 부과는 경제적 위협일 뿐만 아니라 미국이 동남아에서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아세안 국가별로 관세가 10~49%까지 다양하게 부과된 점을 두고 우윙타이 인도네시아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차이나 국가들이 대체로 중국과의 긴밀한 무역 관계를 맺고 있어 표적이 됐다"고 분석했다.
chitra@fnnews.com 치트라 클라우디아 살사빌라 통신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