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투표법 개정·특위구성 제안
여야는 본격적인 경선체제 돌입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정치권은 본격적인 대선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여야는 조기대선일로 유력한 6월 3일에 '타임 스케줄'을 맞추고 이번 주부터 약 60일간 숨가쁜 대선레이스 일정 소화와 대선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체제로 전환을 서두를 예정이다.
여야는 본격적인 경선체제 돌입
6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8일 국무회의에서 조기대선 날짜를 확정·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헌법상 규정된 60일을 꽉 채운 6월 3일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여야는 이번 주부터 세부적인 경선 로드맵을 확정하는 한편 늦어도 이달 말께 각자 대선후보를 선출할 방침이다.
여야는 짧은 60일간의 대장정을 소화하기 위해 '분열을 최소화'하면서도 '흥행'을 거둘 수 있는 최적의 경선일정을 짜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번 탄핵정국이 초래한 대통령제 폐해를 포함한 권력구조 쇄신 요구와 '87년 체제' 극복을 위해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치르자는 제안을 내놨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 사랑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며 "기한 내에 합의할 수 있는 만큼 하되, 가장 어려운 권력구조 개편은 이번 기회에 꼭 하자는 것이다. 부족한 내용은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2차 개헌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헌 논의의 속도를 내기 위해 각 정당에 국민투표법 개정과 국회 헌법개정특위 구성도 제안했다. 그러면서 "4년 중임제에 대해서 여야 정당들이 공감대가 굉장히 넓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이해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