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울산 SFTS 환자 4명 발생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4~11월 ‘감염병 매개 진드기 및 병원체 감시사업’을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작은소피참진드기,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등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과 라임병을 매개하는 진드기의 분포와 병원체 감염 유무를 조사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울산 관내 일원 초지, 무덤, 잡목림, 산길 등 4개 지점에서 월 1회 채집하며, 채집된 진드기 중에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참진드기를 분류, 동정한다.
또 월별 발생 추이, 장소별 분포를 조사하며 종별, 성장 단계별로 유전자를 추출해 병원체 보유 유무를 확인한다.
지난해의 경우 총 433개체의 진드기가 채집됐으며, 주로 5월에서 7월 사이 가장 많이 채집됐고 장소별로는 초지 > 잡목림 > 무덤가 > 산길 순이었다.
또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라임병 병원체인 보렐리아속균은 5월 ~ 11월 사이 5차례 검출됐다.
심민령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참진드기는 주로 수풀이 우거진 곳에 서식하며 사람이나 동물이 지나가면 피부에 붙어 흡혈하기 때문에 잘 정비되지 않은 초지나 잡목림에는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며,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를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야외활동 후에는 진드기가 붙었는지 몸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목욕 또는 샤워를 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울산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는 4명이었고 라임병 환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참진드기의 활동이 왕성한 봄부터 가을까지 환자가 발생하며 고열, 구토, 설사, 혈소판·백혈구 수치 감소 증상을 보이고 치사율이 약 20%에 달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