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도 "오픈프라이머리"
민주당 지도부 "현실성 떨어져"
민주당 지도부 "현실성 떨어져"
![野 ‘경선룰’ 잡음… 비명계 "어대명 버리고 100% 국민투표를"[6·3 대선 레이스 시작]](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8/202504081809195825_l.jpg)
조기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야권 내부에서 대선후보 경선방식을 둘러싼 신경전이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본격적인 경선 준비에 착수한 가운데 비명계(비이재명계)와 조국혁신당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경선룰을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가 9일 사퇴하는 대로 박찬대 원내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 본격적인 경선 체제에 들어갈 예정이다. 당은 곧바로 대선후보 경선을 관리할 선거관리위원회를 띄우고 이번 주 중으로 경선룰을 포함한 경선일정과 운영방침을 정비한다.
선관위원장에는 이춘석 의원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으며 조기대선 일정에 맞춰 이달 내 후보 확정이라는 큰 원칙도 세워진 상태다.
하지만 비명계와 조국혁신당은 민주당의 '내부 경선' 방식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김두관 전 의원은 지난 7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윤석열의 계엄에 반대하고 탄핵에 찬성했던 압도적 다수의 힘으로 '국민연합 정권교체'를 이뤄내야 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구도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 역시 "형식적인 경선으로는 감동을 줄 수 없다"며 오픈프라이머리 제안을 긍정 평가했다.
조국혁신당은 10일까지 민주당에 오픈프라이머리 수용 여부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을 것을 요구한 상태다. 황운하 원내대표는 이날 "민주당이 끝내 거부할 경우 11일 당무위원회를 소집해 독자 후보를 낼지, 연대를 지속할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황 원내대표는 "역선택 우려가 있다면 민주당이 원하는 방식으로 방지조항을 넣으면 된다"며 "내란세력 척결을 위한 압도적 승리를 위해선 당원주권도 일정 부분 양보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선룰을 둘러싼 논쟁은 민주당 내부에서도 심화될 조짐이다.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권리당원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예비경선을 치렀고 본경선은 국민선거인단 투표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에도 비슷한 구조가 유력한 가운데 비명계는 여론 반영 비중을 높이자며 ‘100% 국민투표’를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러한 요구에 대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대선이 두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각 당이 자체 후보를 선출하고 이후 단일화하는 방식이 현실적"이라며 "선관위 구성 이후 논의를 열어두겠다"고 밝혔다. 조승래 수석대변인도 "130만 권리당원과 수백만 당원의 후보 선출권을 박탈하는 결정을 내리긴 어렵다"며 "완전국민경선은 헌법 원리에 부합하지 않으며 현실성도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다만 민주당은 정책·이슈 중심의 범야권 연대는 모색할 방침이다. 당 지도부는 조국혁신당 등 군소 정당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원탁회의' 등 협의체를 통해 연대 가능성을 타진할 예정이다.
경선이 본격화되면 캠프 간의 룰 협상과 주자 간 기싸움도 동시에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비명계 후보들이 오픈프라이머리 수용을 전제로 경선 참여를 선언하거나 거부 시 경선 보이콧을 시사할 경우 당 경선 흥행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