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발효 이후 낙폭 확대
외인 1조 넘게 던져
관세 안전지대 '제약주'도 줄급락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2334.23)보다 40.53포인트(1.74%) 하락한 2293.70에,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58.45)보다 15.06포인트(2.29%) 떨어진 643.39에 거래를 종료했다.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73.2원)보다 10.9원 오른 1484.1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2025.04.09. jhope@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9/202504091746074506_l.jpg)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코스피가 미국발(發) 관세 충격에 2300선을 반납했다.
9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334.23)보다 40.53포인트(1.74%) 하락한 2293.70에 장을 마쳤다.
이날 2320선에 출발한 지수는 장 초반 보합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오후 1시 미국 상호관세 발효 이후 낙폭이 커지면서 2300선이 붕괴됐다. 한 번 꺾인 흐름은 장 마감까지 이어져 결국 2290선까지 밀렸다.
미국 상호관세 조치가 결국 현실화하면서 매도 심리를 자극한 결과다. 실제로 이날 외국인 투자자들은 1조원 넘게 물량을 던졌다.
관세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란 트럼프 발언이 나오면서 불안감도 더해졌다. 셀트리온을 비롯한 제약주는 이날 줄줄이 급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를 둘러싼 시장 우려가 지속됨에도 트럼프는 가까운 시일 내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하며 강경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며 "코스피는 글로벌 증시 하락에 동조하면서 낙폭을 키우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91억원과 752억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부추겼다. 반면에 개인은 9424억원을 순매수 했다.
업종별로는 변동성지수(8.30%)와 전기·가스(0.60%) 등이 올랐고, 종이·목재(-4.85%), 오락·문화(-4.45%), 의료 ·정밀기기(-3.73%)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시총) 상위 10개 종목 모두 하락했다. 시총 1위 삼성전자(-0.93%)를 비롯해 SK하이닉스(-2.65%), LG에너지솔루션(-1.26%), 삼성바이오로직스(-1.20%), 현대차(-0.67%), 삼성전자우(-0.67%), 기아(-0.59%), 셀트리온(-5.27%),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0%), NAVER(-1.50%) 등이 모두 떨어졌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58.45)보다 15.06포인트(2.29%) 떨어진 643.39에 거래를 종료했다.
시총 상위종목 대부분이 하락 마감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0.62%)와 코오롱티슈진(1.81%)을 제외하고 알테오젠(-3.61%), 에코프로비엠(-0.11%), HLB(-5.56%), 에코프로(-3.73%), 휴젤(-5.21%), 클래시스(-4.14%), 삼천당제약(-12.23%), 라가켐바이오(-1.06%) 등이 일제히 하락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73.2원)보다 10.9원 오른 1484.1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ee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