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용 슈퍼컴퓨터를 전량 미국에서 생산하는 계획을 공개했다.
본격적으로 공장들이 가동에 들어가면 사상 처음으로 AI 슈퍼컴퓨터가 미국에서 전량 생산되는 사례가 된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한 가운데 나온 것으로 엔비디아는 앞으로 4년간 5000억달러(약 710조원)를 AI 인프라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야후파이낸스 등 외신은 엔비디아가 대만기업 폭스콘, 위스트론과 제휴해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과 댈러스에 AI슈퍼컴퓨터 조립 공장을 건설 중이며 12~15개월 안에 대량 생산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엔비디아의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2일 스마트폰과 칩 같은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연기하고 다음날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 예고 발표후 나왔다.
TSMC의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공장에서는 엔비디아의 블랙웰 AI칩을 이미 생산하고 있다.
그동안 엔비디아는 반도체의 대부분을 대만에서 생산해왔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제조업 부활 움직임과 함께 높은 관세를 위협하면서 AI 서버를 미국에서 만들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 소식에 "관세가 높을 수록 그들은 빨리 돌아올 것"이라며 환영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는 중국을 특히 겨냥하고 있으며 대형 첨단기업들은 부과되는 관세가 협상에도 불구하고 낮아지지 않는 경우 공급망에 어떻게 차질을 빚을지 파악하는데 고민해왔다.
관세 전쟁에 미국 IT 기업들은 앞으로 미국내 투자를 늘리기로 약속하고 있다.
엔비디아도 이번 AI용 슈퍼컴퓨터 생산 발표로 미국 IT 기업들의 온쇼어링 대열에 합류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제조를 추가함으로써 증가하는 AI칩과 슈퍼컴퓨터 수요에 맞추고 우리의 공급망을 강화할것”이라고 말했다.
애플도 지난 2월 앞으로 4년동안 미 텍사스주에 AI 서버 공장 건설을 포함해 미국에 5000억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WSJ는 애플이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맥프로처럼 시장 규모가 작은 초고가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문제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투자은행 DA데이비슨의 애널리스트 길 루리아는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이 없었더라면 엔비디아가 전혀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기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 CEO는 지난 4일 트럼프의 미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의 만찬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애널리스트들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나오는 언급들을 볼 때 관세의 목적이 무역 적자 폭을 좁히기 보다는 미국내 준자급 생산 수준을 높이기 위한 의도로 옮겨지고 있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는 AI용 칩과 슈퍼컴퓨터를 미국에서 생산하면서 앞으로 수십년에 걸쳐 일자리가 수만개 증가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황 CEO는 지난 3월 미국이 수입품에 대한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큰 타격이 없을 것이나 구체적인 일정 공개 없이 장기적으로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길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경제전문가들과 애널리스트들은 엔비디아와 애플이 미국에서 제품을 전량 생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보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협상을 진행하고 있고 투자자들은 앞으로 IT 기업들의 새로운 깜짝 발표를 예상해야 할 것이라고 저널은 전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