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판매량 51%·60% 증가
"역대급 더위" 전망에 피크 예상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에어컨 주문 쇄도에 생산 풀가동 체제에 돌입했다. 양사의 올해 1·4분기 에어컨 판매량은 이미 전년동기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상태다.
"역대급 더위" 전망에 피크 예상
15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올해 1·4분기(1~3월) LG전자의 스탠드 에어컨 판매량은 전년동기 대비 약 60% 증가했다. 지난 한 달만 놓고 보면 전년 대비 80%이상 증가했다. 인공지능(AI)를 탑재한 LG전자 스탠드 에어컨 '타워'와 '뷰' 판매량은 2배 폭증했다.
삼성전자도 1·4분기 국내 가정용 일반 에어컨 판매량이 전년 동기대비 5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신제품 출시가 이뤄진 지난 3월 한 달간 삼성전자의 가정용 일반 에어컨 판매량은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 주력인 스탠드형 에어컨은 지난해 3월 대비 80%나 판매가 폭증했다. 삼성전자는 적기 수요 대응 방침에 따라, 지난해보다 10일 이상 앞당겨 에어컨 생산라인을 풀가동했으며, 에어컨 설치 전담팀도 조기에 확대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2025년형 인공지능(AI) 에어컨 신제품 전 라인을 한꺼번에 모두 출시했다. 삼성전자는 전력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절감하는 'AI 절약모드' 등 맞춤형 AI기능을 판매 포인트로 잡고, 에어컨 판매 속도를 높이고 있다.
가전업계는 올해 에어컨 시장이 피크를 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기상청은 '2025년 여름 기후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60%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여름 '40도 폭염'을 예측해 화제가 됐던 김해동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4월부터 11월까지 "기상학적으로 여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AI 에어컨 등 고가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 강화, 가전 구독 트렌드 확산 등도 에어컨 조기 판매 열풍을 이끈 이유로 풀이된다. 고가 라인의 경우, 즉흥적 소비보다는 미리 계획을 세워 소비하려는 경향이 짙다는 게 가전업계의 분석이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