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1,570조원대 미 주식시장 상장 중국 기업 퇴출 압박

이석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16 13:45

수정 2025.04.16 13:45

트럼프 행정 명령 통해 법규 위반 등 조사 중
지난 1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클랜드 항구에서 중국 상품을 실어온 중국 선박에 중국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AP 뉴시스
지난 1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오클랜드 항구에서 중국 상품을 실어온 중국 선박에 중국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 AP 뉴시스

[파이낸셜뉴스]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의 퇴출까지 트럼프 행정부가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폭탄에도 중국이 꿈쩍도 않고, 증시 폭락 등으로 오히려 미국 경제에 충격이 되자 다급해진 트럼프 정부가 대중 압박의 수위를 높이기 위해 중국 기업의 상장 폐지까지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1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지난 2월 행정부에 중국과 홍콩에 본사를 둔 미 증시 상장 기업들에 대해 재무 감사 기준 준수 여부를 조사하는 행정 명령을 시행해 해당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기업의 퇴출은 2020년 '외국회사문책법(HFCAA)'에 근거를 두고 있다. 중국의 해당 기업들이 2년 연속 미국 회계당국의 감사에 제대로 서류를 내지 않을 경우 거래소 퇴출이 가능하도록 한 법이다.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에 따르면, 3월 7일 기준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은 286개이며, 총 시가총액은 1조 1000억 달러(1,570조3,600억원)에 달한다.

폴리티코는 중국 기업을 미 증시에서 축출하는 일은 일부 정치인들이 이번 관세 전쟁 이전부터 별러 왔던 일이라고 지적했다. 공화당의 릭 스콧 상원의원(플로리다)은 최근 폴 앳킨스 신임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에게 천문학적인 자금들이 유입되는 미국 증권거래소의 편입 기업들에게는 투명성과 재무 공시 규정 준수 등이 의무인데 중국 기업들이 이를 지키지 않는다는 우려를 담은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스콧 상원의원은 수년 전부터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기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해 왔으며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대중국 입장이 관련 기업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이들을 미국 증시에서 몰아낼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있다.

주무 장관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지난주 관련 질문을 받고 "모든 것이 테이블 위에 있다"면서 이를 향후 중국 압박 수단으로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시사하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이자 미국 비즈니스 리얼리티쇼 '샤크 탱크' 출연자인 대중 강경파 케빈 오리어리는 이러한 조치가 중국이 협상에 "협조하도록 압박하는 데 도움이 될 것"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폴리티코는 미국 정부가 이 방안을 얼마나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중국 기업의 상장 폐지에 대한 관심과 언급이 다시 커지고 있는 것은 미국이 중국에 대해 어떤 제약도 없는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애틀랜틱 카운슬의 제레미 마크 선임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은 매우 눈에 띄고 중요하다"며 이 카드의 사용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것을 지적했다.

june@fnnews.com 이석우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