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ADD, 수㎞ 밖 소형드론 탐지 '광자 레이더' 시연 성공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17 14:39

수정 2025.04.17 17:05

광자기술·AI 활용 원거리 소형드론 탐지·식별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기술 시연 성공
국방 감시정찰 분야, 새로운 장 열 것 기대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 광자 레이다 기술 개념도.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인공지능 광자 레이다 기술 개념도.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국내 기술로 개발 중인 드론 등 소형비행체를 탐지하는 '인공지능 기반 광자 레이더'가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

17일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세종전자시험장에서 열린 시연에서 기존 광학 장비로는 탐지가 어려운 수 ㎞ 떨어진 드론을 야외 환경에서 식별하는 데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고 전했다.

다만 군사보안과 관련해 인공지능 기반 광자 레이더 기술을 통해 탐지할 수 있는 거리와 비행체 크기 등은 공개하지는 않았다.

해당 기술은 국과연이 2022년도부터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했다. 차세대 레이더 기술로 주목받는 이 기술은 레이저의 빛을 전자기파 신호로 바꿔 표적에 보내고, 표적에서 반사된 신호를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 표적의 유무 및 정체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드론처럼 작은 비행체를 탐지하고 식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군은 본 기술을 활용하면 향후 국방 감시정찰 분야에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성태 국과연 제3기술연구원장은 "국과연의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기술이 실제 환경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게 됐다"며 "앞으로 이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K-방산 감시정찰 분야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DD는 앞으로도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더 기술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전투실험 수행 및 후속 과제 발굴 등을 통해 관련 방위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아시아 최대 드론 전시회 및 컨퍼런스인 'DSK 2025(드론쇼코리아)'가 개막한 지난 2월 26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베셀에어로스페이스 부스에서 수직 이착륙 중형 무인기와 정찰용 소형 무인기 라인업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아시아 최대 드론 전시회 및 컨퍼런스인 'DSK 2025(드론쇼코리아)'가 개막한 지난 2월 26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베셀에어로스페이스 부스에서 수직 이착륙 중형 무인기와 정찰용 소형 무인기 라인업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