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지현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이 1차 TV토론과 충청권 경선을 끝내고 20일 영남권 표심을 확인한다.
이재명 후보는 첫 지역순회 경선에서 90%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하며 '어대명' 기류 속에서 독주 체제를 입증했다. 영남권은 이 후보의 고향이지만 민주당 주류의 표심과 차이를 보일지 관심이다. 김동연 후보와 김경수 후보는 치열한 2위 경쟁을 벌이고 있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의 세 경선 후보는 충청권에 이어 영남권에서 두 번째 합동연설회를 진행한다.
이 후보는 대의원·권리당원의 온라인·ARS 투표수 6만4730표 중 5만7057표(88.15%)를 얻어 선두에 올랐다. 김동연 후보는 4883표(7.54%)로 2위, 김경수 후보는 2790표(4.31%)로 3위를 기록했다.
민주당 경선 초반부터 이 후보의 대세론이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흐름 속에서 입증된 셈이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발표될 영남권 경선 결과를 통해 '대세론 굳히기'에 나설 계획이다.
김동연·김경수, '이재명 독주' 견제 위해 경제 정책·개헌 차별화로 공세
이재명 후보의 독주에도 불구하고, 김동연·김경수 두 후보 간 2위 싸움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른바 '2김(金)'으로 불리는 두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 차별화를 시도하며 반전 기회를 노리고 있다.
두 후보는 영남권부터 본격적인 정책 어필을 통해 반격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제 정책, 개헌 시기, 용산 대통령실 사용 여부 등에서 이재명 후보와 확연히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두 후보는 공통적으로 탄핵 정국 이후 어려워진 민생 경제를 살리기 위해 '증세'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이 후보는 당장의 증세보다는 재정 및 조세 지출 조정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두 후보는 이 후보의 증세 반대나 감세 기조를 '포퓰리즘'으로 규정하며 공세를 펼쳤다.
또 김동연 후보는 이 후보가 2022년 대선 단일화 당시 약속했던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과 임기 단축'을 언급하며,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김경수 후보 역시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 과정을 거쳐 다음 지방선거에서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며 이 후보를 압박했다.
두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사용했던 용산 대통령실의 사용 중단도 주장하며, 윤석열 정부와의 명확한 선 긋기를 강조했다.
김경수 후보는 "집권 초기부터 세종에 대통령 집무실을 반드시 두는 것이 맞다"고 했고, 김동연 후보도 "대통령에 취임하면 바로 다음 날부터 세종에서 근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이 후보는 "일단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하다가 청와대 보수 후 이전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같이 두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그의 노선과 다른 입장을 부각하며 차별성을 강조하고 있다.
90% 가까운 득표율 보인 李, 큼지막한 정책으로 국힘과의 본선 경쟁까지 대비
반면, 1차 경선에서 90%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한 이 후보는 당심을 넘어 민심까지 아우를 수 있는 통합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최근 실용·중도 노선, 사회적 통합, 균형발전 및 행정수도 완성, 공공의료 및 복지 강화, 국가 주도 성장 및 첨단산업 육성 등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처럼 비교적 확장적이고 전국 단위 의제를 담은 그의 전략에 대해, 일각에서는 경선보다는 국민의힘 후보와의 본선 경쟁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