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軍정찰위성 4호기 내일 발사.."北 전역 촘촘한 감시"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21 09:41

수정 2025.04.21 09:41

22일 오전 9시 48분 美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서 발사 예정
3호기와 같은 SAR 위성, 스페이스X 팰콘-9 발사체 실려 발사
한반도 재방문주기 추가 단축, 北 도발징후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
[파이낸셜뉴스]
우리 군 정찰위성 3호기가 지난해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국방부 제공
우리 군 정찰위성 3호기가 지난해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고 있다. 국방부 제공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가 한국시각 22일 오전 9시 48분경(미국 기준, 4월 21일 오후 8시 48분경)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발사일시는 여건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21일 국방부에 따르면 이번 정찰위성 4호기 발사에 성공할 경우, 우리 군은 24년 8월 전력화를 완료한 1호기, 전력화 정상 진행 중인 2~3호기와의 군집운용을 통해 한반도 재방문주기를 추가 단축해 북한의 도발징후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발사관리단장인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4호기에 이어 올해까지 군 정찰위성을 모두 발사할 예정이며, 향후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발사하게 되면 우리 군은 독자적인 우주전력을 구축하여 국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우주 전력 증강을 통한 국방 우주력 강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 군은 지난 2023년부터 올해까지 사업예산 약 1조3000억원을 투입, 전자광학·적외선(EO·IR)위성 1기와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 등 총 5기의 고해상도 중대형(800㎏~1t급)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하는 425 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있다.



1호기는 지난 2023년 12월 발사돼 같은해 8월 전력화됐고, 2·3호기는 지난해 4월과 12월 각각 발사돼 현재 전력화를 진행 중이다.

군은 연내 마지막 정찰위성 5호기까지 발사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우리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북한 내 종심지역 전략표적 감시와 주요시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된다.

지난 2018년부터 시작된 우리 군의 독자 정찰위성 확보·전력화 프로그램인 425사업의 명칭은 합성개구레이더 ‘SAR’(싸)와 전자광학 EO(이오) 위성의 영문 발음을 아라비아 숫자 ‘425(사이오)’로 표기한 것이다.

방사청은 1호기 위성은 일반적인 카메라 기술과 유사한 가시광 대역에서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광원을 전자결합소자로 포착해 영상화하는 EO(전자광학)센서와 빛이 없는 밤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온도·열원을 감지해 적외선 대역에서 영상화하는 IR(적외선)센서를 탑재한 위성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4호기에 적용된 SAR 센서는 전자파를 방사해 반사되는 신호 차이를 영상화하는 레이다 기술이 적용됐으며, 감시정찰 위성 탑재체의 센서 중 가장 복잡하고, 고난이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정찰위성 4호기 발사에 성공하면 향후 수개월간의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더욱 촘촘한 대북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하게 될 전망이다. 우리 군의 정찰위성 1·2·3·4호기는 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되며, 전력화되면 주·야간과 기상 악화와 무관하게 더 향상된 고해상도 영상·정보를 획득, 북한의 도발징후를 입체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방사청은 고해상도 중대형 군사정찰위성 총 5기를 확보하는 425 사업과 함께 더욱 조밀하고 신속한 위협 징후 감시 및 조기경보 능력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고체연료 기반 우주발사체를 활용한 소형·초소형 정찰위성 50~60기 확보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전력 구축이 모두 확보되면 우리 군은 30분 단위로 한반도 전역을 감시·정찰할 수 있게 돼 한국형 3축체계 기반 강화, 특히 킬체인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인공위성은 지구 주위의 우주공간을 일정하게 비행하는 인공물체로 통신, 항법, 기상, 지구관측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후 현재까지 1만5000대 이상의 인공위성이 발사돼 7000대 이상이 활동 중이다.

SAR 위성과 EO/IR 위성 특성 비교. 방위사업청 제공
SAR 위성과 EO/IR 위성 특성 비교. 방위사업청 제공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