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광역시교육청, 이주배경학생 한국어 교육 지원 앱 개발

황태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22 12:34

수정 2025.04.22 12:34

지역 특화 콘텐츠·AI 기능 등 갖춰...4개 언어 지원
광주광역시교육청<<사진>은 이주배경학생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앱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제공
광주광역시교육청<<사진> 은 이주배경학생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앱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교육청은 이주배경학생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앱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광주형 한국어 교육 앱'은 이주배경학생 증가 추세를 반영해 다양한 언어권 학생들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기존 한국어 교육 앱이 교육 위주로만 진행되던데 반해 '광주형 한국어 교육 앱'은 지역 역사, 문화유산, 지형, 인물, 사건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학생들이 광주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언어를 배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등 4개 언어를 지원하며, 학습 어휘 717개, 도입부 143차시, 학습 콘텐츠 20개를 담았다.

또 △자동 번역 △다국어 음성모듈 △말하기 및 발음 평가 △한글 필기인식 △AI(인공지능) 대화연습 등 AI 기반 기능을 갖춰 학습 몰입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교사들이 '학습 꾸러미'를 구성해 학생 맞춤형 학습 관리를 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광주시교육청은 아울러 이주배경학생의 공교육 정착을 위해 맞춤형 언어 교육 지원, 공교육 진입 원스톱 서비스, 취학, 학습 지원, 심리·정서 상담 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특히 문화와 언어의 차이로 생활교육, 학습 이해, 가정 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통·번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시작된 통·번역 서비스는 첫해에 474건, 2024년 533건을 지원했으며,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광주시교육청은 이주배경학생이 학교생활에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이주배경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모든 학교에 통·번역 서비스 이용 공문 발송, 교사 연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광주형 한국어 교육 앱'은 언어 학습 도구를 넘어 학생들이 지역을 이해하고 사회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자원이다"면서 "이주배경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따뜻한 교육 환경이 조성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