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국내 공급물가 6개월째 상승세… "원재료 내렸지만 중간·최종재 오른탓"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22 18:24

수정 2025.04.22 18:24

3월 국내 공급물가가 환율 상승 영향으로 6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1차금속제품 등이 상승했으나 석탄 및 석유 제품 등이 내리면서 지난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보합세를 기록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125.97)보다 0.1% 오른 126.06(2020년 수준 100)으로 집계됐다. '국내 공급물가'는 국내 출하 및 수입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표로 원재료(-1.0%)가 하락했으나 중간재(0.1%) 및 최종재(0.3%)는 상승하며 여섯 달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한은 관계자는 "원재료의 경우 2월의 국제 유가 하락세가 반영됐다"며 "중간재와 최종재는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32(2020년 100)로 집계돼 전월 대비 보합세를 기록했다. 2개월 연속 보합세로 전년동월과 비교하면 1.3% 상승했으나 전월(1.5%)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8월(-0.2%)부터 9월(-0.2%), 10월(-0.1%)까지 3개월 연속 주저앉았다가 지난해 11월(0.1%)부터 반등해 3개월 연속 증가한 뒤 지난 2월 상승세를 멈췄다.

주요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림수산품은 농산물(-0.6%)이 내렸으나 축산물(1.8%) 및 수산물(0.5%)은 올라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4개월 연속 상승세다. 주요 품목별로는 돼지고기와 달걀이 전월보다 6.1%, 6.8% 상승했다. 물오징어와 게도 같은 기간 19.9%, 22.2% 상승했다.

공산품의 경우 1차 금속제품(0.8%) 등이 올랐으나 석탄 및 석유제품(-4.3%) 등은 내려 전월대비 보합세를 기록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도 산업용도시가스(-2.7%) 및 증기(-1.1%) 등이 내려 전월 대비 0.2% 하락했다. 서비스는 금융 및 보험서비스(-1.5%) 등이 내렸으나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5%) 등은 올라 전월 대비 보합세를 기록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생산자 근원물가는 0.1% 상승하며 보합세를 기록한 전월과 비교할 때 상승 전환했다. 전년동월보다는 1.3% 상승했다.

국내 출하 외에 수출을 포함한 '총산출물가'는 전월보다 0.1% 하락하며 한 달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0.2%) 등이 내렸으나 공산품(0.2%) 등이 상승한 결과다.

김동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