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 단체 임시 명칭 '공정한 세상'·발기인 명단 237명
청주경실련 "대안 단체 설립은 법과 상식을 벗어난 억지"
![[청주=뉴시스] 충북경실련 대안 시민단체 창립주비위원회가 22일 청주 육거리종합시장 멀티지원센터에서 창립발기인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25.04.22. juyeong@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22/202504222120416412_l.jpg)
[청주=뉴시스] 서주영 기자 = 조직 내 성희롱 사건으로 와해된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충북경실련)의 재건 막바지 상황에서 대안 시민단체 창립 움직임이 일고 있다. 재건 단체 간 갈등이 본격화 되는 모양새다.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충북경실련) 대안 시민단체 창립주비위원회는 22일 오후 7시 청주육거리종합시장 멀티지원센터에서 창립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발기인 50여명은 이 자리에서 ▲발기취지문 채택 ▲발기인 대표 추대 ▲창립준비위원회 구성 등을 결정했다. 창립발기인 명단에는 237명이 이름을 올렸다.
충북경실련 대안 시민단체의 임시 명칭(가칭)은 '공정한 세상'으로 결정됐다.
창립발기인 대표에는 우정순·주서택·황신모 전 충북경실련 공동대표가 추대됐다.
손세원 전 충북경실련 집행위원장과 이만형 충북대 명예교수가 창립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을, 이두영 전 충북경실련 사무처장이 실행위원장을 맡았다.
발기인 대회를 거쳐 구성된 공정한 세상 창립준비위원회는 단체 규약, 임원 선출, 사업 계획 등 안건을 준비하는 대로 창립총회를 개최해 단체 창립을 마무리 지을 예정이다.
공정한 세상은 이두영 전 사무처장 등 충북경실련 전직 임원들이 충북경실련 재창립에 반발해 만들어진 단체다.
충북경실련은 '청주경실련'으로 명칭을 바꿔 창립총회를 열은 뒤 중앙경실련의 승인을 받아 사실상 재창립된 상태다.
이듬해 2월 개최 예정인 중앙경실련 중앙위원회의 승인만 남았으나, 보고 안건 형식으로 다뤄질 예정으로 실질적인 절차는 마무리된 셈이다.
공정한 세상 측은 재건에 있어 성희롱 사건 관계자 전부가 배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 청주경실련에는 성희롱 사건 당시 충북경실련 임원과 사고지부 비상대책위원회 임원들이 일부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충북경실련 사무처장은 지난달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거짓과 꼼수로 추진된 청주경실련은 시민단체로서 갖춰야 할 정체성, 도덕성 등이 심각하게 결여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재창립의 잘못된 점을 바로잡지 못하면 무한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라는 전 임원들의 의지를 잘 알고 있다"며 "청주경실련의 재창립을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이재덕 청주경실련 공동대표는 "청주경실련은 창립총회의 실체적 요건과 합법적 절차를 모두 지킨 후 중앙경실련의 정식 승인을 받아 창립됐다"며 "그럼에도 이 전 사무처장과 일부 전직 임원들은 무슨 문제가 있다는 듯이 대안 시민단체를 추진한다는 주장은 법과 상식에 벗어난 억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정통성을 폄훼하는 분란을 일으켜 어떤 사적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고 했다.
충북경실련은 2020년 조직 내 성희롱 사건을 계기로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 뒤 중앙경실련에서 사고지부로 지정됐다.
당시 남자 임원이 다른 남자 직원들과 대화하던 중 성희롱성 발언을 해 조직 내 갈등으로 치달았다. 지난해 4월 대법원 판결에서 성희롱 피해 사실은 인정됐으나 이를 폭로한 여직원에 대한 해고 무효확인 청구소송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juyeo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