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재생에너지 늘지만 전력계통 '포화'…전력망 인프라 시급

연합뉴스

입력 2025.04.23 11:09

수정 2025.04.23 11:09

전력 수요·공급 불일치…에너지고속도로 구축 대안 제시
재생에너지 늘지만 전력계통 '포화'…전력망 인프라 시급
전력 수요·공급 불일치…에너지고속도로 구축 대안 제시

전남도 신재생에너지 (출처=연합뉴스)
전남도 신재생에너지 (출처=연합뉴스)

(무안=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전남 신안에 국내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가 지정되면서, 재생에너지 활성화가 기대되지만, '전력 계통'은 포화상태여서 전력망 구축 등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전남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3.2GW 규모의 '전남 신안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했다.

이 사업은 2033년까지 10개 단지에서 추진되는데 신안 해상에서 변전소가 있는 장성까지는 전력계통을 확보했다.

문제는 공동 접속 설비가 있는 장성에서 수도권까지 전력을 이송해야 하는 데 현재 전력계통이 포화 상태라는 점이다.

실제 정부는 작년 9월부터 전력계통이 포화 상태에 이르자 접속을 제한했다.

오는 2031년 말까지 광주·전남 103개, 전북 61개, 강원·경북 25개, 제주 16개 등 205개를 계통관리 변전소로 지정하고, 전력계통 접속을 제한했다.



이는 송·배전 시설과 관련한 주민 반대와 태양광 사업자 증가로 전력 공급도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전남 등 일부 지역은 전력이 남아돌면서 전력 생산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조치도 내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계통 포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고속도로'(전력 설비)를 건설하자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에너지 고속도로는 전국의 재생에너지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해 필요한 곳에 전력을 보내는 설비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잘사니즘'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전남도는 수도권에 전기 선로를 50%를 구축하고 지방에 50%를 구축해 기업 유치를 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력 자급률을 고려한 '지역별 차등요금제'를 도입해 분산편익을 지방에 차등요금의 형태로 지원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전력자급률이 높은 지역과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의 전기요금이 낮아짐으로써 기업 유치의 경쟁력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발전 허가만 받고 실제 공사에 착수 못하는 허수 사업자의 허가를 취소하거나 전력이 많이 필요한 데이터센터 유치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지방은 단순한 전력 생산기지가 아니다"며 "전기를 수도권에만 보낸다면, 지방은 발전설비만 남고 일자리는 없는 상황이 반복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방이 비교 우위를 가진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첨단산업을 유치하고, 일자리를 만들며, 사람이 돌아오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minu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