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관세 여파로 변동성 확대
한경협 "수출업종에 세제 지원을"
한경협 "수출업종에 세제 지원을"

한국경제인협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2025년 5월 전망치가 기준선 100을 하회한 85.0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BSI가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긍정적인 경기가 전망되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경기가 전망된다는 의미다. 이번 BSI는 지난 2022년 4월부터 기준선 100을 3년2개월 연속 하회한 기록이다.
5월 BSI는 글로벌 관세 및 환율 등 주요 가격 변수의 변동성 확대로 4월 88.0 대비 3p 떨어지면서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올해 들어 4번째 80대 전망치다.
5월 업종별 BSI는 제조업(79.2)과 비제조업(90.8)의 동반 부진이 예상된다. 특히 제조업 BSI(79.2)는 2020년 8월(74.9) 코로나19 이후 4년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제조업 BSI(90.8)는 올해 1월(84.9)부터 5개월 연속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한경협은 석유화학, 철강 등 주력 산업의 경영 악화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글로벌 통상 리스크가 확대됨에 따라 제조업 대부분의 업종에서 기업심리가 위축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 중에는 여가·숙박 및 외식(142.9), 운수 및 창고(107.7)의 업황 개선이 전망된다. 나머지 5개 업종은 부진이 전망된다. 한경협은 5월 연휴 특수가 예상되는 여가·숙박 및 외식(142.9)과 운수 및 창고(107.7) 업종을 제외하고는 부정적 심리가 우세했다고 밝혔다.
5월 조사 부문별 BSI는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내수(87.2)·수출(89.1)·투자(87.2)는 2024년 7월 이후 11개월 연속 동반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수출 BSI(89.1)는 미국의 관세부과 계획 발표 등 글로벌 교역의 불확실성의 확대 등으로 2020년 9월(88.5) 이후 처음으로 지수 값이 90선 미만으로 하락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등 수출 주력 업종에 대한 투자 촉진 및 세제 지원 등을 통해 기업심리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