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업체들이 부담하는 일부 관세, 부품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백악관이 23일(현지시간)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관련 보도를 낸 뒤 백악관이 이를 확인했다.
FT는 소식통 2명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가 이뤄져도 모든 수입 자동차에 물리는 25% 관세는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트럼프는 자동차 부품에도 5월 3일부터 25% 관세를 물리기로 한 바 있다.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는 미 자동차 업체들의 로비가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자동차는 이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고, 미 자동차 업체들이 추가 완화를 요구하자 트럼프가 결국 부품 관세 면제라는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강경 관세 정책이 각 업체들의 반발과 시장 폭락세 속에 후퇴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부품도 관세 면제 길로 가고 있다.
자동차 업체들은 트럼프가 차 값을 올리지 말라고 경고했지만 부품 관세가 시행되면 차 값이 급격하게 오를 수밖에 없다고 경고해왔다.
아울러 미국 내 자동차 생산 수지 타산이 맞지 않아 공급망이 흔들리고, 대규모 감원도 불가피하다고 강조해왔다.
스텔란티스 회장 존 엘칸은 트럼프 무역정책으로 “미국과 유럽 자동차 산업이 위기에 몰렸다”고 경고했다.
또 다른 자동차 업계 고위 관계자도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로 거듭거듭 자동차 산업에 타격을 주지 말라고 호소해왔다”면서 “이는 정말로 자동차 부문의 건전성을 위협한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후퇴는 그의 강경 관세정책이 협상 카드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의 초기 행동은 고강도 관세가 협상용이 아니라 실행용이라는 점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선 공약인 소득세 폐지를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고율의 관세를 물린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그의 고관세가 증시를 무너뜨리고, 기업들은 잇달아 감원과 투자 후퇴에 나서면서 실물 경제도 흔들리자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고관세 정책이 협상을 통해 후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중국과 무역 협상 ‘빅딜’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합의는 공정해야 할 것이라고 답해 양국이 물밑에서 무역 합의에 거의 도달했음을 시사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