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청자들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인터넷TV(IPTV), 케이블TV 등 복수 플랫폼을 이용하며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멀티호밍’ 시대에 살고 있다. 콘텐츠 대가 산정 체계 또한 이에 맞춰 구조적으로 개편돼야 한다"
한정훈 K-엔터테크허브 대표는 24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에서 ‘해외 멀티호밍 트렌드 및 시장환경 변화’를 주제로 한 발제에서 이 같이 말했다.
최근 멀티호밍 성향이 강해졌음에도 해외 연구들에 따르면 멀티호밍 이용자들은 오히려 케이블TV의 시청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실시간 뉴스, 재난방송, 생활밀착형 지역 정보 등 케이블TV의 공공적 특성과 지역성이 여전히 강력한 기능을 하면서 시청자의 콘텐츠 욕구를 보완하는 ‘보완적 소비’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국내 케이블TV 업계는 △콘텐츠 확보 비용 △재전송료 부담 △광고 수익 감소라는 삼중고를 겪고 있다.
또한 동일 콘텐츠가 여러 플랫폼에 공급되는 상황에서도 각 플랫폼이 각각 콘텐츠 대가를 부담해야 하는 구조는 과도한 비용 부담을 초래하며 이는 시청자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한 대표의 지적이다.
그는 해외에서 ‘인크리멘털 프라이싱’ 원칙을 도입하고 있다며 국내에도 이 같은 콘텐츠 대가 산정 체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크리멘털 프라이싱은 콘텐츠의 독점 소비분에만 적정 대가를 매기고 중복 소비에 대해서는 낮은 단가를 적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실제 지난 2023년 미국 디즈니와 차터 커뮤니케이션즈 간 협상 사례에서도 이 원칙이 반영됐다. 차터는 디즈니 콘텐츠가 OTT 등 다양한 경로로 유통되고 있음을 이유로 기존 송출료가 부당하다고 주장했고, 디즈니는 일부 콘텐츠를 별도 비용 없이 제공하는 조건으로 협상을 마무리했다.
한 대표는 “국내에서도 시청률, 광고 수익, 선호도 등을 기반으로 한 AI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콘텐츠 대가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고 정부는 이를 제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는 케이블TV의 공공성과 경쟁력을 지켜내고 시청자 중심의 방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