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극우 야당 대선후보 마린 르펜이 10일(이하 현지시간) 치러지는 대통령선거 1차 투표를 앞두고 9일 설전을 벌였다.
최신 여론조사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이 여전히 지지율에서 르펜을 웃돌고는 있지만 르펜에 바싹 추격 당하는 입장이다.
8일 공개된 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일 1차 투표에서는 마크롱이 26%, 르펜이 22%, 그리고 극좌 장 뤽 멜렝콩이 17% 지지율을 얻을 것으로 관측됐다.
또 4월 24일 치러지는 2차 결선 투표에서 마크롱과 르펜이 맞붙으면 54%대 46%로 마크롱이 승리할 것으로 예상됐다.
2017년 대선 당시에 비해 르펜은 지지율 격차를 크게 좁혔다.
그러나 르펜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난과 방역규제, 또 마크롱의 은퇴 연령 상향추진 등에 대한 반발 여론을 등에 업고 마크롱을 바싹 추격하고 있다.
■ "르펜은 인종주의자이자, 공약도 실현불가능"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중도 성향의 마크롱은 르펜이 공약으로 내세운 경제정책은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을 르펜 스스로도 잘 알고 있지만 표를 의식해 이를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르펜이 '인종주의자'여서 그가 집권하면 프랑스를 분열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프랑스의 유럽연합(EU) 탈퇴를 이끌 것이라고 경고했다.
마크롱은 8일자 르파리지앵과 인터뷰에서 르펜의 사회복지 공약은 허구라면서 어떻게 재원을 마련할지가 나와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르펜이 "연금을 올리겠다. 그저 쉬어라"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는 실현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럴 의도조차 없다고 주장했다.
마크롱은 르펜의 계획이 만에 하나 실제가 되면 이는 프랑스 경제를 파탄 낼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국제 투자자들이 프랑스를 탈출해 대량 실업이 발생하고, 예산을 심각하게 압박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마크롱은 르펜의 계획은 장기적으로 결코 작동할 수 없다고 말했다.
■ 르펜, 지방 소도시 돌며 서민 물가대책 제시
르펜은 마크롱이 대선구도가 불리하게 돌아가자 자신에 대한 '극도로 광폭한' 언사를 늘어놓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분석가들의 평가에 따르면 2017년 대선 2차 결선투표에서 패배해 집권에 실패한 르펜은 최근 경제위기를 발판 삼아 선거전을 효과적으로 치르고 있다.
자신이 그동안 주장해왔던 반이민 정책을 강조하는 대신 지방 소도시들을 돌면서 밥상 물가 상승에 대한 비판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
르펜은 '필수' 식료품과 가정용품 등을 하나로 묶어 부가가치세를 없애고, 기업들이 임금을 최대 10% 인상토록 장려하는 정책도 펴겠다고 약속했다.
또 30세 미만 청년층의 소득세를 면제하고, 에너지 부가세를 낮추며, 마크롱이 강조하는 '세계주의(globalism)' 대신 '지역주의(localism)'에 집중하겠다고 제안하고 있다.
아울러 마크롱이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강행하려는 은퇴 연령을 65세로 높이는 방안에도 반대했다. 그는 지금의 은퇴연령을 유지하되 연금제도를 개혁해 비용을 낮춰 연금 지급액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자신의 공약들이 인종주의적이라는 마크롱의 주장을 부인했다. 그렇지만 외국인보다 프랑스 국민들을 더 우대한다는 공약은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마크롱은 팬데믹 이후의 각종 방역 규제와 물가난으로 지지율에서 르펜에 고전했지만 러시아가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다시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위기에서 신뢰할 만한 지도자라는 인식을 심어주는데 성공한 덕분이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